
▲ 제17대 김광수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인수위원회인 ‘행동하는 제주교육인수위원회’는 27일 학력 격차 해소 실현을 위해 도교육청에 ‘학력 향상 전담 조직’을 설치·운영하기로 했다.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에 학력 격차 해소를 위한 전담 조직이 설치된다. 김광수 제주도교육감 당선인이 취임 직후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학력 격차 문제 해소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한 만큼 기초 학력 강화를 위한 정책이 어떻게 전개될 지 주목된다.
제17대 김광수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인수위원회인 ‘행동하는 제주교육인수위원회’(이하 인수위)는 학력 격차 해소 실현을 위해 도교육청에 ‘학력 향상 전담 조직’을 설치·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학력 진단과 맞춤형 브릿지교육 강화, 기초학력 전담 교사제 운영 등 학력 격차 해소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교육청에 ‘기초학력지원센터’, 교육지원청에 ‘학습종합클리닉센터’를 각각 설치하기로 도교육청과 합의했다.
이와 함께 고3 학부모를 위한 진학 지원, 정시 대비 진학 지원, 진로·진학 상담지원단 확대 운영 등 진로·진학 지원 역량 강화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김 당선인은 현재 학력 격차가 중위권이 사라지고 하위권이 크게 늘어난 호리병 모양이라고 진단했다.
하지만 학력 격차가 어느 정도인지 짐작만 할 뿐 구체적인 실태는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고 있어 우선적으로 전수조사를 통해 학력을 확인할 수 있는 평가가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일제고사식 학력 측정, 줄세우기식 교육의 부활이라는 부정적인 목소리도 여전히 나오고 있어 이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평가 후 파악된 학력 격차를 실제로 해소할 수 있을 지도 주목된다.
이에 대해 김 당선인은 “일제고사를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겠지만 학생들의 올바른 학업 수행을 위해 필요한 일련의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오히려 긍정적인 면이 더 많을 것”이라며 “진단 이후 학생과 교사 1대 1 방식의 맞춤형 지도·학습이 가장 좋은 처방”이라고 했다.
고창근 인수위원장은 “당선인이 강조한 학력 격차 해소를 위한 전담 조직이 설치·운영되면 우리 아이들이 어떠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지 진단하고 이를 통해 체계적으로 학력을 향상시키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진주리 기자 bloom@jeju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