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이하 COP28) 한국 개최 추진과 맞물려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의 유치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어 제주 유치를 위한 총력 대응이 요구된다.
COP28은 매년 197개 기후협약 당사국, 정부 대표단, 국제기구·민간단체 대표 등 2만여 명이 모여 약 2주 동안 다양한 의제를 논의하는 기후변화 관련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 환경회의다. 대륙별 순회원칙에 따라 2023년 하반기에 열리는 28차 총회는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올해 11월 26차 영국총회에서 개최국이 결정되고, 한국이 확정되면 환경부는 국내 개최도시를 공모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COP28 유치를 통해 대한민국 그린뉴딜 성공에 기여하고 전 지구적 기후행동을 이끌어 나간다는 목표다.
제주뿐만 아니라 다른 지방에서도 잇따라 유치전에 뛰어들면서 경쟁이 고조되고 있다.
전남과 경남이 영호남 화합과 지역균형발전을 내걸고 남해안 남중권 공동 유치에 나섰다. 전남에서는 세계박람회가 열렸던 여수를 중심으로 순천, 광양, 고흥, 구례, 보성이 경남에서는 진주, 사천, 하동, 남해, 산청, 고성 등 12개 지자체가 참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2억원을 투입해 COP28 유치전략 발굴을 위한 용역에 착수했다. 전남은 국장급이 단장을 맡은 유치추진단도 구성됐다.
경기도 고양시도 지난해 10월 COP28 유치를 선언하고, COP28 유치 추진전략과 로드맵 수립, 전담 조직 구성, 실천연대 발족 등 유치 활동을 본격화하고 있다.
인천시도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이달 중 COP28 인천 유치추진단을 발족하는 등 COP28 유치를 위한 다각적인 방안들을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여러 지자체들이 COP28 유치전에 뛰어들고 있어, 제주 역시 총력 대응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제주도는 우선 2012년 환경부, 세계자연호보전연맹과 함께 세계자연보전총를 성공적으로 치러낸 경험과 대규모 국제회의 및 관광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또한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세계자연유산·세계지질공원 등 유네스코 3관왕 비롯해 파리총회에서 대한민국 대표모델로 소개된 ‘탄소 없는 섬 프로젝트’ 등 세계 환경의 중심 도시임을 강조하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전국적인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면서 “제주 유치전략 수립, 실무TF 운영, 범도민 유치위원회 구성, 100만명 서명운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강재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