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가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이하 COP28)를 제주에 유치하기 위해 100만인 서명운동에 이어 유치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총력 대응에 나섰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COP28 한국 유치를 공식 선언했고, 남해안 남중권, 인천시, 경기도 고양시 등도 유치전에 뛰어드는 등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제주도는 3일 설문대여성문화센터 공연장에서 COP28 제주 유치 열기를 전국으로 확산하기 위해 ‘제주 COP28 유치위원회’를 발족했다.
원희룡 지사는 기조연설에서 “COP28은 탄소중립이라는 글로벌 목표에 가장 가까이 다가간 곳인 제주에서 열려야 한다”며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고, 코로나 팬데믹 시대의 절대가치가 된 ‘청정’을 어느 도시보다도 앞서 중심 가치로 삼고 실천해온 곳이 제주”라고 강조했다.
제주도 COP28 유치위원회는 원희룡 지사, 좌남수 제주도의회 의장, 배우 고두심씨가 공동위원장을 맡았고, 다양한 분야에서 81명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COP28 매년 197개 당사국 정부대표단, 국제기구·민간단체 대표, 전문가 등 약 2만명이 참여하는 기후변화 관련 가장 큰 규모의 국제회의로 2023년에는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올해 11월 영국에서 열리는 제26차 총회에서 COP28 개최국이 결정되며, 한국이 개최국으로 확정되면 환경부는 개최도시를 공모해 선정할 예정이다.
COP28 유치를 위한 전국 지자체들의 경쟁도 치열해 지고 있다. 본지의 취재를 종합해 보면 우선 전남과 경남지역 12개 지자체가 영호남 화합과 지역균형발전을 내걸고 남해안 남중권 공동 유치에 나섰다. 또한 경기도 고양시와 인천시도 유치전을 펼치고 있다.
제주도는 유네스코 자연유산 3관왕, 청정 자연, 대규모 국제회의 경험과 회의·관광 인프라 등의 장점을 내세우고 있지만 제주 유치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제주 차원의 총력 대응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강재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