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대선에선 유독 '청년'이 주인공으로 부각되고 있다. 정치권에서도 '세대 교체'가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고, 대선후보들도 청년 세대를 위한 공약을 내세우며 세대갈등을 풀어내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청년, 특히 MZ세대는 이념·지역 등에서 벗어나 사회적 이슈에 따라 움직이는 양상을 보여 대선 후보들도 이들을 잡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이다. 이처럼 청년을 향해 보내는 대선 후보들의 러브콜은 공약에서도 고스란히 나타났다.
李 기본권 보장 尹 상생형 임금
安 연금 개혁안 沈 일자리 보장제
'주거 지원 정책' 여·야 한목소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만 19~29세 청년에게 연 100만원을 지급하는 청년 정책과 함께 청년이 직접 청년정책을 결정하고 참여하는 청년정부, 청년특임장관 임명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청년 기본소득·기본금융 등으로 청년들의 기본권을 보장하겠다는 방침이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의 경우, 성과에 따른 공정한 보상을 우선하는 청년 세대의 요구를 반영해 공정한 세대 상생형 임금체계 개선을 10대 공약에 담았다. 이와 더불어 청년 과학도들을 위한 연구 기회를 확대하고 평가의 공정성 제고, 결과에 대한 정당한 보상체계 확립 등을 약속했다.
연금 고갈로 청년 세대들은 연금을 받지 못한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세대 갈등으로 번지는 상황 속에서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는 연금 개혁을 꺼내들었다.
'지속 가능한 통합국민연금법' 제정 등으로 국민연금 고갈 문제를 해결하고 1990년 이후 출생 청년과 미래세대도 연금을 받을 수 있는 구조를 구축하겠다고 안 후보는 공약했다.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는 국가일자리보장제로 청년 일자리 30만개를 창출하고 정부 개혁안으로 세대연대 내각 원칙 실현 등을 10대 공약에 담았다.
폭증하는 부동산 가격으로 청년들의 허탈감이 커지자, 청년을 위한 주거 정책을 여야 대선후보 모두 한목소리로 공약했다.
이 후보는 신규 주택 공급 물량 30% 청년 우선 배정과 청년기본주택 등을, 윤 후보는 청년 원가주택 30만호를 공급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심 후보는 세입자 청년을 위한 안정적 전월세 주거 보장 등을, 안 후보는 무주택 실수요자인 청년 등을 대상으로 기준금리 수준의 45년 주택담보대출을 제공하겠다고 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