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일보) '전통시장 공동배송시스템' 지원사업, 전통시장 활성화에 한 몫?

  • 등록 2022.09.13 22:01:06
크게보기

대전시, 전통시장 공동배송 전담인력 배치 계획…2차추경 의결 관건
상인회 '환영', "공동배송센터 시설 개선 선행돼야" 지적도

 

 

대전시가 전통시장 디지털 전환을 위해 '공동배송시스템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전통시장 상인들은 대체로 환영의 뜻을 비치면서도 일각에선 시장 내 있는 공동배송센터의 시설 개선부터 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13일 대전시, 상인회 등에 따르면 현재 시는 지난 2020년부터 시행된 전통시장 온라인 장보기 사업으로 전통시장 공동배송시스템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대전 전통시장 6곳을 선정해 온라인 장보기 사업 운영에 필요한 전담인력을 배치하는 것이 골자다. 예산은 시비 약 4억2000만원이 투입될 예정. 시는 제2회 추경예산이 시의회에서 의결될 경우 곧바로 사업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온라인 장보기 사업은 소비자가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특정 전통시장을 검색해 반찬, 야채, 정육 등 먹거리를 주문하면 2시간 이내로 배송해주는 비대면 주문·배송서비스다. 중앙시장, 문창시장, 태평시장, 도마큰시장, 한민시장, 중리시장 등 지역 전통시장 10곳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그동안 시장 상인들은 온라인으로 주문 받은 물품을 각 시장 내 있는 공동배송센터까지 직접 옮겨야 하는 등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상인 대부분이 고령층이어서 직접 물건을 옮기기 힘들 뿐 아니라 그때마다 가게를 비워야 해 부담감이 컸기 때문이다.

이런 부분을 감안해 시는 상인들이 아닌 향후 배치할 전담인력을 통해 물품을 직접 공동배송센터로 입고토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그동안 상인들이 직접 물품을 공동배송센터에 입고해야 하는 등 여러 문제로 온라인 장보기 사업이 활성화되지 못했고, 상인회 차원에서도 전담인력을 자체 고용할 수 있는 자생력이 없어 더욱 상황이 어려웠던 것 같다"며 "공동배송 사업을 통해 각 시장 규모에 맞는 전담인력을 배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온라인 장보기 홍보도 더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는 다만 2차 추경예산이 확정되지 않아 본격적으로 사업을 진행하지는 않고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자치구 별로 1개 시장을 추천받고 있다"며 "시장 선정이나 전담인력 인원 수 등 자세한 사항은 추경 의결 이후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상인들은 이번 지원사업을 환영하는 분위기다. 그동안 제기됐던 불만 사항들이 해결되면 더 많은 상인들이 온라인 장보기 사업에 참여할 것이란 긍정적인 반응이 많다.

서구 한 전통시장 상인은 "온라인 장보기라는 게 사실 말도 어렵고, 물건 가지고 옮기는 것도 힘들어서 시장 상인들도 크게 관심이 없었던 것이 사실"이라며 "지금보다 홍보가 더 되고, 시장 내 전담인력도 생긴다면 시민들이나 상인들 모두 온라인 장보기가 뭔지 한 번 더 들여다 볼 것 같다"고 말했다.

상인회 일각에선 그러나 공동배송시스템을 만들기 전에 배송센터의 시설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공동배송센터가 별도 공간이 있는 게 아닌, 각 시장 고객지원센터 옆 한켠에 작은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상인연합회 한 관계자는 "온라인 장보기가 시작된 지 2년이 됐는데 아직도 제대로 된 공동배송센터가 없어서 일부 시장에선 고객센터 옆 바구니에다 물건들을 쌓아놓는 실정"이라며 "시설 개선이 선행돼야 상인이나 시민들도 (온라인 장보기를) 더 많이 활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소연 기자 so-yearn@daejonilbo.com

김소연 기자 so-yearn@daejonilbo.com
Copyright ©2019 팔도타임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지방신문협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1310호 (태평로1가, 한국프레스센터) 등록번호: | 발행인 : 박진오 | 편집인 : 박진오 | 전화번호 : 02-733-7228 Copyright ©2019 한국지방신문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