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중소기업 대다수가 외국인 근로자에 만족하고 있지만, 일부 기업은 언어 소통과 근태 문제, 사업장 변경 요구 등에서 애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자료사진]](http://www.lpk.kr/data/photos/20250521/art_17477895392619_33c41f.jpg)
제주지역 중소기업의 대다수가 고용허가제와 외국인 근로자에 만족하고 있지만, 일부 기업은 언어 소통과 근태 문제, 사업장 변경 요구 등에서 애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 제주지역본부(회장 성상훈)는 제주지역 중소기업 61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고용허가제 만족도 및 외국인 근로자 고용 애로 실태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4월 29일부터 5월 7일까지 고용허가제를 통해 외국인 근로자를 활용 중인 도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고용허가제는 외국인 근로자의 합법적인 국내 취업을 허용하는 제도로, 국내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2004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제도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65.6%가 고용허가제에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만족도는 57.4%로 집계됐다.
반면, 외국인 근로자에 대해 불만을 나타낸 기업(9.9%)은 주된 이유로 ▲생산성 및 근태 문제(50.0%) ▲무리한 사업장 변경 요구(33.3%) ▲언어 소통 문제(16.7%)를 꼽았다.
조사에 따르면 외국인 근로자의 월평균 급여는 239만4000원으로, 전년도(241만5000원)보다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숙소비는 응답 기업의 62.3%가 전액 부담하고 있으며, 26.2%는 공동 부담, 11.5%는 근로자 전액 부담인 것으로 조사됐다.
1인당 숙소비는 평균 28만원으로, 전년(22만8000원)보다 증가했다.
식사비용 역시 대부분(80.4%)의 기업이 전액 부담하고 있으며, 1인당 월평균 식사비는 22만6000원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 기업 중 41.0%는 외국인 근로자 추가 고용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부족 인원은 평균 2.1명으로 조사됐다.
외국인력 활용 시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한국어 교육 강화’(27.9%)가 가장 높았으며, 이어 ‘사업장 변경 제한 강화’(21.3%) , ‘차등임금제 도입’(18.0%), ‘도입절차 간소화 및 기간 단축’(18.0%), ‘쿼터 확대 및 체류기간 연장’(13.1%) 순으로 나타났다.
성상훈 제주중소기업회장은 “많은 중소기업들이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 근로자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한국어 능력 향상과 성실한 근로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등 실질적인 정책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