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일보) 서귀포시 공공 요양병원 건립 '무산 위기'

  • 등록 2025.06.23 10:34:48
크게보기

정부, ‘공립요양병원 일몰제’...사업비 388억원 등 국비 확보 '난항'

서귀포시민들의 숙원 사업인 공공요양병원 건립이 무산 위기에 놓인 가운데 의료 인프라도 열악한 실정이다.

 

21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내년까지 국비와 도비 각 194억원씩 총 388억원이 투입되는 서귀포의료원 부설 공공요양병원 신축 사업이 ‘공립요양병원 일몰제’ 방침으로 정부의 국비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됐다.

 

지난해 서귀포시 인구(19만2034명)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1.8%(4만1948명)로 치매 등 노인질환을 전담할 의료기관이 설립이 요구돼 왔다.

 

서귀포의료원 부설 공공요양병원은 지상 3층·지하 1층 연면적 7244㎡로 일반병동 62병상, 치매병동 36병상 등 98병상이 설치되고 의료진 36명을 확보할 예정이었다.

 

제주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 김대진 의원(더불어민주당·동홍동)은 지난 20일 2024년도 결산 심사에서 “제주시에는 공공·민간 요양병원이 11개소나 있지만, 초고령사회를 눈 앞에 둔 서귀포시에 공공요양병원은 한 곳도 없다”고 지적했다.

 

조상범 안전건강실장은 “공립요양원 일몰로 국비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되면서 공공요양병원 건립은 어렵게 됐다”며 “이로 인해 민간 투자로 요양병원을 건립을 검토하고 있다”고 답했다.

 

지난해 4월 585억원의 예산이 투입돼 문을 연 서귀포의료원 급성기병상(신관)의 경우 의사를 확보하지 못해 일부 병상을 운영하지 못하고 있다.

 

급성기병상 주요시설은 신근경색·뇌졸중·폐렴 등 급성기 47병상, 호흡기 30병상, 정신건강의학과 42병상 등 119병상이 확충돼 서귀포의료원은 기존 272병상에서 391병상 규모로 커졌다.

 

이날 강철남 의원(더불어민주당·연동을)은 서귀포의료원이 391병상을 갖췄고, 의사도 45명이 있는데 정신의학과 의사 2명을 확보하지 못해 지난 4월 문을 연 정신과 병동(폐쇄병동)을 운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상범 안전건강실장은 “서귀포의료원이 종합병동으로 위상을 갖췄지만, 정신과 의사는 1명뿐이며, 추가로 2명을 채용해야 정신과 병동을 운영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강 의원은 “서귀포의료원 신관이 건립됐지만 의사를 확보하지 못해 정신과 병동과 입원실을 가동하는 못하는 것은 문제”라며 조속한 의료인력 확충을 촉구했다.

좌동철기자 roots@jejunews.com
Copyright ©2019 팔도타임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지방신문협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1310호 (태평로1가, 한국프레스센터) 등록번호: | 발행인 : 박진오 | 편집인 : 박진오 | 전화번호 : 02-733-7228 Copyright ©2019 한국지방신문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