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신문) 경남도 28일 국감… 명태균 증인 출석

  • 등록 2025.10.27 16:03:09
크게보기

‘명씨 공천 개입·채용 청탁 의혹’ 치열한 공방 예고

경남도가 3년 만에 국정감사를 받는다. 올해 유독 산불과 수해 등 자연재해 피해가 컸던 데다 공천 개입과 채용 특혜 등 의혹을 받는 정치브로커 명태균씨가 증인으로 출석할 예정으로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남도 대상 국정감사는 28일 오전 10시부터 경남도청에서 진행된다.


앞선 서울시·강원도 국감서도
명씨 관련 의혹 주요 쟁점으로

 

선거 앞둔 경남 여야 대립 팽팽
명씨와의 관계 추궁 이어질 듯

 

산불·수해 피해 대응도 ‘도마 위’

 


이날 국감에는 박완수 경남지사에 대한 공천개입 의혹을 주장하는 ‘정치브로커’ 명태균씨가 증인으로 출석하면서 관련 의혹이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행안위는 지난 21일 명씨를 경남도 국정감사에 ‘공천개입 의혹’ 관련 증인으로 채택했다. 당초 명씨는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사건 공판이 이날 국감 일정과 겹치며 출석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당일 공판이 오후 2시로 미뤄지면서 출석하게 됐다.

 

지난 2022년 지방선거에서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명태균씨로부터 공천에 도움을 받았는지를 두고 여야의 집중 질의가 예상된다. 박완수 도지사가 명씨 처남 채용 청탁 의혹에 연루됐다는 의심을 받았던 만큼, 명씨와의 관계에 대한 추궁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또 명씨 관련 ‘창원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단(제2국가산단)’ 지정 과정 개입 의혹과 기밀 누출, 부동산 투기 의혹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다만 도는 당시 공천이 경선을 통해 이뤄진 점, 명씨 처남 채용은 블라인드 채용 방식으로 이뤄진 점 등을 들어 그간 해당 의혹들을 반박해 왔다.

 

앞서 진행됐던 서울시와 강원도 대상 국정감사에서도 명씨 관련 의혹이 주요 쟁점이 됐다.

 

지난 23일 서울시 국감 현장에는 명씨가 증인으로 출석해 지난 2021년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오세훈 서울시장의 여론조사 비용 대납 의혹을 거론하며 오 시장이 수세에 몰리는 장면이 연출됐다.

 

이어진 24일 강원도 국감에서도 명씨가 여러 차례 거론되면서 김진태 강원지사 역시 곤욕을 치렀다. 김진태 지사도 명씨가 지사 공천 과정에 개입했다는 의혹에 둘러싸여 있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광역단체장 공천하는데 한 사람이 좌지우지할 수 있겠나”라고 답하기도 했다.

 

결국 경남도 국감에서도 박 지사와 명씨를 두고 이같은 질의와 지적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경남이 서울, 인천, 강원 등과 마찬가지로 여야가 탈환-수성으로 팽팽하게 대립하는 지역이라는 점에서 민주당 의원들이 공세를 퍼붓고 국민의힘 의원들이 이를 제지할 가능성이 크다.

 

이밖에 올해 경남은 산불과 수해 피해가 컸던 만큼 자연재해 대응체계와 피해현장 복구 등이 주요 쟁점으로 거론될 전망이다.

 

지난 3월 21일 산청군 시천면에서 발생한 산불은 인근 하동군 옥종면, 지리산 국립공원 일대로까지 번졌다. 열흘 동안 이어진 이 산불로 진화대원과 인솔 공무원 등 4명이 숨지고 산림·주택·농축산 시설이 불에 타 287억원의 재산 피해가 났다. 지난 7월에는 극한 호우로 산사태·하천 범람·침수가 발생하며 15명이 숨지거나 실종되고, 5177억원의 재산피해를 입었다.

 

이와 관련 산청 산불이 대형산불로 커진 원인, 인명피해가 생긴 이유, 산불 진화 대처가 적절했는지 질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마찬가지 대규모 인명피해를 빚은 극한 호우 당시 주민 대피체계가 잘 작동했는지, 경남도·산청군의 대응에는 문제가 없었는지에 대한 점검이 예상된다.

 

아울러 이재명 정부가 ‘5극 3특’(5대 초광역권·3대 특별자치도 육성)‘과 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부울경 특별지방자치단체)를 추진하는 상황에서 박 지사와 박형준 부산시장이 합의한 부산경남 행정통합 이슈도 주요 현안으로 거론될 수 있다.

 

한편, 경남도는 박완수 지사 취임 첫해인 2022년 이후 3년 만에 국감을 받게 됐다. 광역지자체는 통상 2년마다 국감 대상이지만, 전국체전 개최 지자체를 국감에서 제외하는 국회 관행에 따라 2024년 전국체전 개최지였던 경남은 국감을 한 해 건너뛰었다.

김현미기자 hmm@knnews.co.kr
Copyright ©2019 팔도타임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지방신문협회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 20 등록번호: | 발행인 : 이동관 | 편집인 : 이동관 | 전화번호 : 053-255-5001 Copyright ©2019 한국지방신문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