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대전일보DB]](http://www.lpk.kr/data/photos/20210312/art_16164573146245_459741.jpg)
대전시가 코로나 19 감염 사태 등으로 인해 생사 기로에 처한 MICE 산업 육성을 위해 나서고 있지만 해당산업 육성의 핵심사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정부의 '국제회의복합지구' 공모 사업에 너무 안이하게 대처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 앞서 사업을 선점한 다른 시·도들은 MICE 산업 경쟁력 키우기에 이미 착수했기 때문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MICE(기업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산업 육성을 목표로 지난 2018년부터 '국제회의복합지구 활성화 지원 사업'을 공모사업을 통해 추진하고 있다. 국제회의 유치로 얻어지는 관광, 숙박, 쇼핑 등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크다는 판단에서다. 지자체가 호텔·쇼핑 시설이 집적한 지역에 국제회의 육성 계획을 수립하면, 문체부가 이를 심의하고 지정·공고하는 단계 등을 거쳐 추진된다. 국제회의복합지구로 지정되면 관광진흥법상 관광특구와 동일하게 재정 지원, 용적률 완화, 교통 유발금 감면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다른 지자체들은 국제회의 복합지구 공모에 열을 올리고 있다. 국제 회의가 MICE 산업의 큰 뼈대인 까닭이다. 지난 2018년 인천시와 경기도 고양시, 광주시가 각각 해당사업 공모에 선정됐다. 지난해에는 부산시와 대구시 선정됐다. 이들 지자체는 공모에 선정된 후 국비 3-5억 원을 지원받으며 관광 특구에 준하는 혜택을 받고 있다. 시설내 안내소 설치와 브랜드화 지원, 순환 버스 운영 등이 추진되며, 이를 발판 삼아 코로나 19로 어려움에 처한 지역 MICE 산업 활성화, 국제 비즈니스 선도 등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다른 지자체가 국제회의복합지구 공모 사업에 적극적으로 뛰어든 것과 달리 대전은 존폐 위기에 처한 지역 내 MICE 업계 회생 등을 위해 너무 안일하게 대처하는 게 아니냐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 시는 그동안 국제회의복합지구 공모 사업에 단 한차례도 지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전 컨벤션센터(DCC) 등 지역 내 MICE 업계 위기가 커지고 있다는 실정을 감안하면 너무 느긋하게 대응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특히 대전시는 최근 국내 최고 MICE 도시를 목표로 3대 추진 전략과 9개 세부추진과제를 담은 2021년 대전시 MICE 산업 추진계획을 내놓았지만 정착 국제회의복합지구 활성화 지원 사업 공모에 등한시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비판이 없지 않다.
이와 관련 지역 내에서 국제 회의 대행사를 운영하는 한 대표는 "통상 매출이 85억 원이었는데 지난해는 코로나19로 국제회의를 개최하지 못해 8억 원으로 매출이 10분의 1 토막으로 급감했다"며 "대전시가 다른 시도처럼 국제회의복합지구 공모에 적극적으로 나서 몸집을 키웠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든다"고 밝혔다.
지역 내 한 관련 학과 교수는 "다른 시·도처럼 국제회의복합지구를 중심으로 한 MICE산업 단지를 육성해야 하는데 대전이 소극적인 행정을 펼치고 있어 굉장히 안타까울 뿐"이라며 "정부 예산을 더해 지역 MICE 산업을 육성하는 방향으로 대전도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대전시 한 관계자는 "대전만의 국제회의복합지구 특화 모델을 구상하느라 지체된 부분이 있었다"며 "2021년 선정을 목표로 선정 연구 용역에 착수한 상황이다. MICE 산업 육성과 국제회의복합지구 선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우경 기자 qkr95691@daej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