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의료원 공공 요양병원 대신 급이 낮은 ‘노인 질환 전문센터’가 설치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13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서귀포시 동홍동 1535-5번지 3915㎡ 부지에 서귀포의료원 부설 공공 요양병원을 건립하기로 했다. 당초 계획은 지상 3층·지하 1층 연면적 7244㎡로 일반병동 62병상, 치매병동 36병상 등 98병상과 의료진 36명을 확보하기로 했다. 그런데 정부의 ‘공립요양병원 일몰제’로 공공 요양병원 건립에 국비 지원이 끊기면서 도는 노인 질환 전문센터로 변경하기로 했다. 지난해 서귀포시 인구(19만2034명) 중 65세 이상은 21.8%(4만1948명)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가운데 치매 등 노인질환을 전담할 의료기관이 설립은 서귀포시민들의 숙원 사업이 됐다. 이와 비교해 제주시에는 공공·민간요양병원이 11곳이나 있다. 김대진 제주도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동홍동)은 13일 도정질문에서 “서귀포시에 요양병원이 한 곳도 없어서 만성질환자와 치매 환자 모두 제주시나 육지에 있는 의료기관에 가야 한다”며 “2021년부터 추진됐던 서귀포의료원 요양병원 증축 계획이 노인 전문 질환센터로 변경된 것은 국비 지원이 안 되고 운영 수익성 문제”라고 지적했
지난달 제주~중국 칭다오 간 국제화물선이 취항했지만, 물동량의 불확실성은 개선되지 않았고 중국 선사와 체결한 협정도 불공정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남근 제주도의회 의원(국민의힘·비례대표)은 11일 444회 정례회 도정질문에서 “10월 첫 취항에서 중국 측에서 실어온 수입 물량은 38개 컨테이너에서 2항차는 12개, 3항차는 단 1개의 컨테이너가 수입됐다. 언제까지 물동량 확보 방안을 반복적으로 묻고 답해야하는가”라며 질타했다. 이어 “중국 선사가 불가항력 및 국가정책 조정 등 사유로 일방적으로 철수할 경우, 제주도의 해지권 규정이 없어 협정 해지의 불균형이 있다”고 지적했다. 오영훈 지사는 “내년 1월 칭다오 연락사무소를 개소해 수출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테무와 알리익스프레스 등 전자상거래 물류 기업과 협력을 확대하겠다”며 “투자가 없이 기대 수익은 있을 수 없다. 항로가 안정적으로 운영되려면 1~2년 정도의 시간은 필요하다”고 답했다. 제주에서 제작된 위성이 내년 3월 제주도 해상에서 발사될 예정이다. 오 지사는 이경심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의 질의에 대해 “제주한화우주센터는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한 달에 4기에서 8기의 제주산 위성을 생산하게 된다”며
옛 제주경찰청 청사 부지와 제주시 봉개동 청소년야영장 등을 맞교환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맞교환이 이뤄지면 제주특별자치도는 부족한 사무실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9일 제주도에 따르면 옛 제주경찰청 청사를 이관 받는 대신 제주시 청소년야영장과 명도암유스호스텔을 경찰청에 제공을 검토 중이다. 이 같은 공유재산 활용 방안에 대해 기획재정부는 긍정적인 입장이다. 제주도는 본청(1청사·2청사)의 공간 부족으로 ▲옛 제주경찰청 부속동(성평등정책관·청년담당관·4·3총괄팀 등) ▲건설회관(혁신산업국·기초자치단체설치준비단·건축경관과 등) ▲옛 제주국토관리청(도로관리과·전국체전기획단) ▲조선일보 제주지사(시설공단설립준비단·노동일자리과) 등 많은 부서가 외부 건물에 입주했다. 옛 제주경찰청 청사는 부지 9594㎡에 지상 4층·지하 1층 규모로, 도에 건물이 이관되면 사무실 부족 문제가 해결된다. 제주시 청소년야영장(550명 수용)과 명도암유스호스텔(348명)은 부지 면적이 14만3552㎡에 이른다. 제주시는 34억원을 투입해 청소년야영장과 명도암유스호스텔을 리모델링했고 축구·풋살장 조성, 샤워장 신설, 산책로를 개설했지만 코로나 사태 이후 4년째 운영이 중단됐다. 청소년들이 복합
제주특별자치도가 ‘비타민C 외교’로 불리는 북한 감귤 보내기 사업을 재개한다. 6일 제주에 따르면 내년도 예산에 남북교류협력기금 2억원을 편성, 감귤 보내기 사업을 추진한다. 오영훈 지사는 전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동영 통일부장관을 만나 새로운 한반도 평화시대를 위한 ‘제주형 남북교류협력사업’을 논의했다. 오 지사는 “비타민C 외교로 호평 받았던 제주 감귤 보내기 사업을 재개해야 한다”며 “제주 감귤이 이끌어 낸 남북교류협력은 민간 차원의 남북관계 개선에 큰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정동영 장관은 “제주 감귤이 이끈 남북교류 협력은 남북관계 개선에 실질적 도움이 됐다”고 평가하며 “제주가 구상하는 남북교류 제안에 전적으로 동의하며 적극 지원하겠다”고 화답했다. 정 장관은 감귤은 UN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안 내용에 포함되지 않아서 지원이 가능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제주 감귤 보내기 사업은 1999년 100톤에서 시작됐다. 주요 외신은 감귤 보내기가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협력 사업의 첫 시도이며 ‘비타민C 외교’라고 극찬했다. 제주도는 2010년까지 감귤 4만8328톤, 당근 1만8100톤 등 모두 6만6428톤(233억원 상당)을 북한에 보냈다. 2009년에
제주국제공항의 방위각시설(로컬라이저) 개선 사업은 2년이 소요되며, 89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는 부러지기 쉬운 구조가 아닌 철골 구조물로 설치됐기 때문이다. 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의 주요 원인이 된 방위각시설 개선 사업과 관련, 제주공항을 제외한 무안·김해·광주·여수·포항·사천 6개 공항은 연말 또는 내년 초에 준공을 한다. 광주·포항공항은 개선이 완료됐고, 무안·김해·사천공항은 공사가 진행 중이며, 여수공항은 계약 절차가 진행 중이다. 내년도 국토교통부의 예산안을 보면 제주공항 방위각시설은 동서활주로 동쪽 끝단 안전구역에 길이 47m, 높이 5.1m의 H형 철골 구조물 위에 설치됐다. 이 시설은 항공기의 좌우 수평 위치를 안내해 활주로 중앙선에 맞추도록 돕는 장치다. 국토부는 당초 기초 구조물을 제거해 경량 구조물로 교체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한국공항공사가 올해 상반기 한국강구조학회에 용역을 의뢰한 결과, 해당 구조물은 항공기 충돌 시 부러지기 쉬운 알루미늄 재질이 아니라 H형 철골 구조물로 설치됐다. 국토부는 철거와 새 구조물 설치를 위해 2026년 31억원, 2027년 58억원 등 2년간 89억원을 투입한다. 이는 단순히
내년도 국비 확보를 위한 ‘예산 전쟁’이 시작됐다. 내년도 국비는 민선 8기 오영훈 도정의 주요 공약을 마무리하고, 도민 숙원사업을 해결할 재원으로 꼽힌다. 2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내년도 추가 국비 요청액은 19개 사업에 805억7000만원이다. 국비가 필요한 주요 사업을 보면 ▲잉여 재생에너지 열에너지 전환 P2H(Power to Heat) 사업(300억원) ▲전국장애인체전 경기장 개·보수 212억원 ▲AI기반 디지털 관광인프라 구축 40억원 ▲농산물스마트가공센터 건립 38억원 ▲해상운송화물 공적기능 도입 35억원 ▲활어차 물류비 지원 35억원 ▲공공예술연습공간 조성 30억원 ▲서귀포권 거점 위판장 현대화 10억원 등이다. 도에 따르면 내년 9월 제주에서 열리는 전국장애인체전 개·폐회식과 운영비, 보수비 등 154억원을 확보했지만, 노후화된 체육시설을 개축·정비하려면 추가 국비 지원이 필요하다. P2H 사업은 태양광으로 생산된 전력을 열로 변환, 가정과 하우스에 난방이나 온수를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도는 제주평화대공원과 해녀의전당 설계비로 각각 22억원과 6억5000만원을 반영해 줄 것을 행정안전부와 국가유산청에 요청했다. 제주평화대공원은 20
건설경기 불황으로 폐업하는 건설사가 늘어났지만, 신규 업체도 꾸준히 증가해 저가 하도급, 부실 공사 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30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폐업한 도내 건설사는 2022년 58개소, 2023년 79개소, 2024년 92개소, 올해 상반기 36개소에 이른다. 이는 주택 미분양 증가, 원자재·인건비 상승에 따른 시공 비용 폭등, 일감 부족으로 연쇄 폐업이 이어졌다. 그런데 종합건설업체는 지난해 563개소에서 올해 8월 현재 641개소로 14%(78개소) 증가했다. 전문건설업체는 같은 기간 1772개소에서 1804개소로 2%(32개소) 늘어났다. 제주도의회 김기환 의원(더불어민주당·이도2동갑)은 이날 443회 임시회에서 “폐업이 늘어났지만, 업체 수는 오히려 증가하는 기형적인 현상은 페이퍼컴퍼니(서류상 등록업체)가 난립했기 때문”이라며 “시공능력이 없는 페이퍼컴퍼니는 낙찰 후 일괄 하도급을 주면서 건설시장 질서를 훼손하고 업체의 자립 기반을 무너뜨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른바 ‘하도급 공사비 나눠먹기’는 건설업의 고질적인 관행으로, 원사업자가 공사단가를 일방적으로 깎아버리면서 부실 공사로 이어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공사대금을 제때 지급하지
국내 첫 영리병원으로 추진됐다가 취소된 제주녹지국제병원 부지와 건물을 부산에 기반을 둔 인당의료재단 부민병원(이사장 정흥태)이 인수했다. 29일 부민병원에 따르면 서귀포시 동홍·토평동 제주헬스케어타운에 자리한 19개 필지 2만8000㎡와 지상 3층·지하 1층 규모 병원 건물을 법원 경매를 통해 204억원에 매입했다고 밝혔다. 정흥태 이사장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종합병원으로 할지, 외국인 의료환자를 유치하는 전문병원으로 운영할지는 제주도민이 원하는 방향에 따라 결정하겠다”며 “다만,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성형·미용수술은 재단의 설립 취지와는 맞지 않는 것 같다. 비영리병원인 만큼, 제주도하고도 좀 더 의논을 해 보겠다”며 말을 아꼈다. 정 이사장에 따르면 서울·부산·해운대·부산 구포 등 4곳에서 부민병원을 운영 중이다. 3곳은 관절·척추·내과 중심의 종합병원이며, 1곳은 재활전문병원이다. 그러면서 정 이사장은 인수한 녹지병원을 관절·척추 종합병원으로 운영할 경우 최대 200병상을 확보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중국 녹지그룹은 국내 처음으로 영리병원인 녹지국제병원을 개원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개원을 앞두고 2018년 12월 제주도가 ‘내국
해녀들이 수확한 소라를 보조금으로 구입하고, 바다에 방류한 후 다시 채취하도록 하는 혈세 낭비가 벌어졌다. 제주특별자치도 상하수도본본부의 ‘수산물 종패 방류 사업’이 최근 행정사무감사에서 도마 위에 올랐다. 28일 제주도의회 이승아 의원(더불어민주당·오라동)에 따르면 상하수도본부는 2021~2023년 3년간 도내 33개 어촌계에 총 12억원을 투입, 소라·홍해삼·전복 종패 방류 사업을 실시했다. 이 사업은 상하수도본부가 어촌계·수협을 통해 종패(種貝·어린 소라·홍해삼·전복)를 구입한 후 바다에 살포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기간 4개 어촌계에 2억9000만원이 지원됐는데, 종패가 아닌 모패(어미 소라) 약 5만㎏이 바다에 방류됐다. 어린 소라 종자를 바다에 뿌리는 이유는 하수처리장 인근 바다의 자원 회복과 생태계 안정, 해녀 소득 증대를 위한 것이다. 하지만, 성장한 소라인 모패를 방류하면서 보조금으로 어촌계와 지역수협을 통해 구입한 성체 소라를 바다에 뿌리고 다시 돈을 줘서 매입하는 황당한 일이 벌어졌다. 즉, 해당 어촌계 어장에서 잡은 소라를 상하수도본부가 매입하고, 방류하고, 다시 채취해 판매하도록 한 것이다. 이승아 의원은 “하수처리장 인근 바다의 수
제주지역 일부 구간의 차선이 밤이 되면 보이지 않는 이유는 부실한 시공과 사후 검사 미흡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제주특별자치도와 양 행정시에 따르면 2023년부터 올해 8월까지 2년 8개월 동안 실시한 차선도색 공사는 41건에 총 33억3000만원이 투입됐다. 이 기간에 도색된 차선은 약 500㎞에 이른다. 국토교통부는 2023년 12월 개정된 지침에 따라 차선도색 후 측정 장비를 이용해 ‘재귀반사 검사’를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재귀반사 검사는 차선이 반사하는 빛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 김황국 의원(국민의힘·용담1·2동)이 지난 24일 행정사무감사에서 확인한 결과, 제주도와 양 행정시는 전문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 육안으로 품질검사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제주도는 42개 구간의 도색 사업 중 3개 구간만, 제주시는 28개 구간 중 1개 구간만, 서귀포시는 23개 구간 중 1개 구간에서 육안 검사를 진행했다. 아스팔트 차선 도색 공사는 어두운 밤에도 빛을 반사해 선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유리알을 섞은 특수 페인트를 사용해야 한다. 이 공법으로 도색한 고휘도 차선은 부착력과 내마모성이 우수해 악천후 시에도 차선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