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팔도핫플레이스] 광복 80주년 민족의 역사 기록한 ‘천안 독립기념관’
모두가 ‘탑’ 찍는… 그날이 오길
온 국민 성금 500억원 모아 기념관 건립
높이 51m 대형 조형물 ‘겨레의 탑’ 압권
불멸의 민족 기상과 자주독립 의지 표현
독립기념관 얼굴이자 기념홀 ‘겨레의 집’
수덕사 대웅전 본뜬 동양 최대의 기와집
105인 계단 오르면 ‘추모의 자리’에 도달
식민 잔재 청산 조선총독부 첨탑 반 매장
민족시인 심훈은 그날이 오면 ‘삼각산이 일어나 더덩실 춤이라도 추고’, ‘한강물이 뒤집혀 용솟음칠’거라고 노래했다. 올해는 시인이 그토록 보기를 갈망한, 한민족이 45년 일제 치하의 사슬을 끊고 광복한 지 80주년이 되는 해다. 조국 광복을 실감 못한 시인이 광복 80주년의 해 되살아 온다면, 어느 곳을 가장 먼저 찾을까? 자작시 ‘그날이 오면’을 비롯해 수 많은 시와 어록이 비로 세워져 있고 한민족 시원부터 항일독립투쟁, 전쟁 참화를 딛고 이룩한 번영의 역사가 전시관마다 가득한 곳, ‘2025~2026 한국인이 꼭! 가봐야 할 한국관광 100선’에 뽑힌 곳. 바로 충남 천안의 ‘독립기념관’이다. ■ 815기 태극기 마당, 높이 51m 겨레의 탑 독립기념관은 1982년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사건을 계기로 건립추진위원회가 구성됐다. 기념관 건립에 남녀노소 온 국민이 나서 성금 500억원을 모았다. 1986년 8월 5일 중앙일보 보도를 보면 독립기념관 유치를 두고 각 지역은 치열하게 경쟁했다. 당시 천원군 목천면 흑성산 일대 330만5천여㎡(100만 평)가 결정된 것은 산수가 빼어나 명당으로 꼽힌 흑성산은 물론 이동녕과 유관순 등 수 많은 의사·독립투사들의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