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간 공석으로 남겨뒀던 더불어민주당 전주을 지역위원장 선출이 오는 10월 판가름 날 전망이다. 만약 10월에도 결론이 나지 않을 경우 늦어도 11월 안에는 결과가 나올 것이란 게 정치권의 관측이다. 특히 전주을 지역위원장 선출은 중앙당 차원의 제3인물 낙점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묘한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이상직 의원의 탈당으로 사고지역위원회가 된 전주을 지역위원장 선출은 사실상 국회의원 공천과도 직결돼 있어 이번 결과는 향후 전북 정치지형과 지방선거 판도를 바꿔 놓을 정도의 후폭풍을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3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전북을 비롯한 전국의 사고지역위원회 위원장 선출을 위한 조직강화특위 구성을 연기했다. 지난달 당무위원회는 조강특위 구성 안건을 처리하고 윤관석 사무총장을 위원장으로 서삼석 부총장을 부위원장으로 각각 임명했지만 위원 구성은 미뤄둔 상황이다. 민주당 조강특위는 대선 후보가 선출되는 10월 10일 이후 사고지역위원회 위원장 선출작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다만 전주을 지역위원장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움직임은 이달부터 급물살을 탄 모양새다.
전주을 지역위원장 낙점 가능성이 있는 인물로는 임실출신인 양경숙 국회의원(비례)과 지난 총선에서 전주을 경선후보로 나섰던 이덕춘 변호사 등이 거론되고 있다. 두 사람은 현재 정세균 전 국무총리의 대선활동을 지원하고 있다는 게 공통점이다. 또 전주을 지역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이병철 전북도의원과 김희수 도의원, 송성환 도의원도 지역위원장에 뜻을 두고 있다.
양경숙 의원의 경우 중앙당 차원의 인사로 다른 후보군들의 집중견제를 받고 있는 상황이다. 양 의원이 전주을로 지역구를 선택한 배경에는 중앙당 핵심인사들과의 사전교감이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그는 이미 전주 효자2동으로 전입신고를 마치고, 도내 오피니언 리더들과 만남을 갖는 등 지역과의 소통에 집중하고 있다. 정세균 전 총리와 장영달 우석대 명예총장 등도 양 의원을 지원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이덕춘 변호사와 이병철 도의원 등은 이에 대해‘지역대표성’을 강조하면서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이 변호사는 “(나는)21대 총선 예비후보 경선에서 최선을 다하고 결과에 승복한 만큼 정치적 명분이 있다”면서“중앙당 낙점 방식은 전주을에서 없었다. 반면 저는 국민시대 전북 공동대표를 맡아 조직도 보완했고 지역의 입장을 대변하기 위해서 노력해왔다”고 어필했다. 이 도의원은 “중앙당의 결정에 따를 수밖에 없다”면서도“지역과 교감하고 시민들의 상처를 아우를 수 있는 분이 위원장이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전북정치권의 다크호스가 된 양 의원은 초선 비례대표로 정세균 캠프에서 균형분권본부장을 맡고 있으며, 국회에선 예산결산특별위원회와 기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당과의 인연도 깊다는 평가다. 양 의원은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에서 빈민분과 위원, 조직부장 등을 역임했고, 민주당에 영입된 후에는 대외협력위 부장, 열린우리당 부대변인, 국정자문위원회 여성위원장, 정책위원회 부의장, 전국 여성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맡으며 30여 년간 당직자로 활동해왔다.
특히“내년 지선에 불출마 하겠다”고 발표한 김승수 전주시장 역시 유력한 전주을 지역위원장 후보로 점쳐져 왔으나“최근 지역위원장 자리를 고사했다”고 직접 밝혔다.
김 시장은 “당 안팎으로부터 지역위원장 권유를 받기는 했으나 현직 시장으로서 지역위원장을 맡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판단했다”면서“지자체 집행부와 의회 간 견제와 균형의 원칙 측면에서 그렇다. 또(내가 지역위원장에 나서는 것은)한 달 전 기득권을 내려놓으며 불출마 선언했던 결단에 반하는 일이다. 이제 남은 1년은 시민 곁에서 묵묵히 시정에 최선을 다할 생각이다”고 말했다.
한편 이환주 남원시장이 위원장 대행을 맡고 있는 남원·순창·임실 지역위원장도 비슷한 시기에 선출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윤정 kking152@jja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