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거와 상업 시설이 밀집해 차량 이동량이 많은 대구 중구가 주차장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공영 주차장은 부지 매입이 쉽지 않고, 거주자우선주차구역도 주차 수요를 뒷받침하기에 한계가 있다.
27일 대구 중구청의 '주차장 수급 및 안전관리 실태조사'에 따르면 조사기간(5~7월) 중 중구 노상‧노외 주차 면수는 모두 4천783대다. 낮 동안의 주차수요는 6천509대로, 공급 면수가 1천726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조사에서 중구 노상주차대수 8천54대 가운데 중구 차는 33.1%(2천663대)였고, 나머지 66.9%(5천391대)는 외부 차였다. 주민뿐만 아니라 도심을 방문하는 외부 유동인구의 주차 수요도 많은 것이다.
하지만 주차장 조성은 어렵기만 하다. 특히 노외 공영주차장의 경우 토지 소유자가 매도를 꺼려 부지 확보가 쉽지 않다. 토지 소유자가 재개발‧재건축을 통해 받을 수 있는 보상 금액과 비교해 공영주차장 매도 금액이 적어 잘 팔지 않는 것이다.
특히 삼덕동 일대에 최근 식당과 카페들이 들어서면서 토지 공시가격이 높아지고, 토지 소유주 역시 원하는 매도 금액이 비싸지면서 공영주차장 부지 매입에 부담이 따르는 상황이다.
이에 류규하 중구청장이 민선 7기 임기 공약으로 내건 전통시장 주변 공영주차장 설치 및 주차시설 확대 사업도 종료 시점이 1년밖에 안 남았지만 추진율은 35%에 그친다.
이면도로에 주차선을 그어 주민이나 상근자에게 우선권을 주는 '거주자우선주차제'는 중구가 1천276면에 달해 같은 제도를 도입한 남구(161면)와 북구(714면)에 비해 활발하다. 하지만 이 역시 공급 가능한 이면도로 부족 등 신규 지정에 한계가 있다.
개인 집 담장을 허물어 주차장을 만드는 '내 집 주차장 갖기 사업' 역시 담장을 허무는 데에 따른 방범 문제가 발생하면서 신청자는 많지 않다.
중구청 관계자는 "중구 남산동에 공영주차장 조성을 위해 부지를 매각하겠다는 의도가 있는 소유자가 있어 내년에 감정평가 의뢰를 해 부지매입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곳을 거주자우선주차제로 사용하는 구상도 있다"며 "'내 집 주차장 갖기 사업'은 기존 사업 예산 지원금을 늘어난 것을 적극적으로 안내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