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이경훈, 이하 국립무형유산원)은 지난 2019년부터 국가무형문화재에 대한 전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 2021년까지 3개년에 걸쳐 상설전시실 전면 개선에 나섰다. 상설전시실2는 지난 2020년 5월에, 상설전시실1은 15일 재개관했다.
국립무형유산원이 15일 상설전시실1 재개관 후 ‘일상의 흥과 풍류’를 주제로 상설 전시를 열었다. 무형유산 실감형 콘텐츠를 결합해 새로 단장한 만큼 다양한 기술을 결합한 전시회를 기획했다.
앞서 2020년 5월에 재개관한 상설전시실2가 전통 공예기술과 생활관습 부문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면, 이번 15일에 재개관한 상설전시실1은 전통공예, 예술과 의례‧의식, 전통놀이‧무예, 전통 지식 등을 중심으로 새롭게 구성해 운영한다고 밝혔다.
전시는 크게 △음악과 춤, 삶의 여유 그리고 풍류 △일과 놀이, 다져지는 공동체의 힘 △기원과 축제, 내일의 안녕으로 구성돼 있다. 국립무형유산원은 전시를 통해 변화무쌍한 자연환경과 역경 속에서도 삶의 여유를 잃지 않고, 예술의 형태로 승화해 이겨내고자 한 우리 민족의 모습을 보여 주고자 했다.

상설전시실1 도입부에서는 3차원 입체 프로젝션 맵핑(대상물 표면에 빛으로 이뤄진 영상을 투영하는 미디어 아트 기법)으로 연출한 자연 영상을 통해 관람객들을 선조들의 일상으로 초대한다.

이어 ‘음악과 춤, 삶의 여유 그리고 풍류’에서는 삶의 희로애락을 즐기고 위로한 전통공연, 예술 분야 무형유산 세상이 펼쳐진다. 한옥 정자 공간에서는 자연 속에서 즐기던 향제줄풍류를 악기, 악보와 함께 대형화면으로 즐기고, 각 마당 보유자들의 소리로 판소리 다섯 마당도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또 대형화면을 통해 처용무의 과거와 오늘날도 만날 수 있다.

- search
- zoom_in
홈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전시·공연
국립무형유산원, 15일 상설전시실1 재개관
박현우 입력 2022-02-15 16:45 수정 2022-02-15 16:45 댓글 0
일상의 흥과 풍류를 주제로 전시도 마련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이경훈, 이하 국립무형유산원)은 지난 2019년부터 국가무형문화재에 대한 전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 2021년까지 3개년에 걸쳐 상설전시실 전면 개선에 나섰다. 상설전시실2는 지난 2020년 5월에, 상설전시실1은 15일 재개관했다.
국립무형유산원이 15일 상설전시실1 재개관 후 ‘일상의 흥과 풍류’를 주제로 상설 전시를 열었다. 무형유산 실감형 콘텐츠를 결합해 새로 단장한 만큼 다양한 기술을 결합한 전시회를 기획했다.
앞서 2020년 5월에 재개관한 상설전시실2가 전통 공예기술과 생활관습 부문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면, 이번 15일에 재개관한 상설전시실1은 전통공예, 예술과 의례‧의식, 전통놀이‧무예, 전통 지식 등을 중심으로 새롭게 구성해 운영한다고 밝혔다.
전시는 크게 △음악과 춤, 삶의 여유 그리고 풍류 △일과 놀이, 다져지는 공동체의 힘 △기원과 축제, 내일의 안녕으로 구성돼 있다. 국립무형유산원은 전시를 통해 변화무쌍한 자연환경과 역경 속에서도 삶의 여유를 잃지 않고, 예술의 형태로 승화해 이겨내고자 한 우리 민족의 모습을 보여 주고자 했다.

상설전시실1 도입부에서는 3차원 입체 프로젝션 맵핑(대상물 표면에 빛으로 이뤄진 영상을 투영하는 미디어 아트 기법)으로 연출한 자연 영상을 통해 관람객들을 선조들의 일상으로 초대한다.

이어 ‘음악과 춤, 삶의 여유 그리고 풍류’에서는 삶의 희로애락을 즐기고 위로한 전통공연, 예술 분야 무형유산 세상이 펼쳐진다. 한옥 정자 공간에서는 자연 속에서 즐기던 향제줄풍류를 악기, 악보와 함께 대형화면으로 즐기고, 각 마당 보유자들의 소리로 판소리 다섯 마당도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또 대형화면을 통해 처용무의 과거와 오늘날도 만날 수 있다.

‘일과 놀이, 다져지는 공동체의 힘’에서는 마당 공간에서 펼쳐지는 줄다리기와 농악 등을 다양한 전시품으로 소개한다. 전통사회는 명절과 정월 대보름처럼 특별한 때가 되면 놀이를 즐기며 화합을 도모했다.
대표적으로는 풍년을 기원하고 수확의 기쁨을 나누는 공동체 문화 ‘농악’은 평택농악, 구례잔수농악, 이리농악, 임실필봉농악 등 지역별 농악의 의상과 소품으로, 풍자와 해학의 문화인 ‘탈놀이’는 여러 탈 전시와 함께 멀티 터치 테이블로 즐기는 다양한 탈놀이로 즐길 수 있도록 구성했다.

마지막으로 ‘기원과 축제, 내일의 안녕’에서는 일상이 무사히 영위되기를 바란 염원이 담긴 무형문화재를 소개한다. 사람들은 노동의 결과가 풍요롭기를 소망하고, 천재지변과 전염병 앞에서 마을의 안위를 기원했다. 간절한 의례와 의식은 점차 몸집을 키워 하나의 축제로 자리 잡았다. 그중 전시에는 강릉단오제 무속제의 현장, 바다에서 펼쳐지는 위도띠뱃놀이의 연행 과정을 마련했다.

이 외에도 전통문화를 즐기며 계승해 온 국가무형문화재 작고 보유자의 삶과 업적을 조명하는 공간인 무형문화재기념관을 상설전시실1로 옮겼다. ‘사라지지 않는 빛’ 공간으로 그 정신을 기리고, 무형유산 관련 아카이브(자료 저장소) 자료를 다양한 방식으로 탐색해 보는 ‘무형유산 미디어 월’도 조성해 전시에 미처 담지 못한 무형유산까지도 만날 수 있도록 했다.
전시는 무료이며, 매주 월요일은 휴관이다. 전시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국립무형유산원 누리집(www.nihc.go.kr)이나 전화(063-280-1467)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국립무형유산원은 이번 상설전시실 개편으로 무형유산 체험 기회를 확대하고 대국민 서비스 향상을 위해 정부 혁신 차원에서 실감형 콘텐츠를 적극 활용해 사람들이 국가무형문화재를 보다 친밀하게 느낄 수 있도록 만드는 데 집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