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강릉 8.9℃
  • 구름많음서울 18.3℃
  • 구름많음인천 15.7℃
  • 구름많음원주 17.5℃
  • 맑음수원 15.5℃
  • 구름많음청주 22.9℃
  • 맑음대전 22.1℃
  • 맑음포항 16.7℃
  • 구름많음대구 17.8℃
  • 맑음전주 19.6℃
  • 구름많음울산 15.9℃
  • 창원 15.4℃
  • 맑음광주 17.9℃
  • 부산 16.6℃
  • 흐림순천 13.6℃
  • 맑음홍성(예) 20.7℃
  • 맑음제주 20.5℃
  • 맑음김해시 16.0℃
  • 맑음구미 17.1℃
기상청 제공
메뉴

문화관광일반

전체기사 보기

(강원일보) [그림 속 강원도]조세걸 ‘곡운구곡도첩’-(3)

김수증, 절경 뛰어난 9곳 지정 ‘와룡담''서 학문 연구·후학 양성

화천에는 자연이 빚어낸 비경이 있다. 바로 ‘곡운구곡(谷雲九曲)’이 주인공이다. 지금의 화천군 용담리 일대에 자리 잡은 이곳은 조선 시대의 대표적 유학자인 김수증(1624~1701년)이 은거하며 학문을 닦던 장소다. 김수증은 이곳을 중국의 주희가 머문 무이산의 ‘운곡(雲谷)’에서 착안해 ‘곡운(谷雲)’이라 이름 붙였고, 절경이 뛰어난 아홉 곳을 선정해 ‘곡운구곡’이라 이름 지었다. 김수증은 당쟁이 격화되던 시기인 1670년, 벼슬을 내려놓고 화천의 깊은 골짜기로 들어왔다. 그가 머물던 곳은 구곡 중에서도 으뜸으로 꼽히는 제6곡 ‘와룡담(臥龍潭)’이었다. 이곳에는 그가 직접 지은 농수정과 곡운정사가 자리했다. 정사는 학문을 익히고 후학을 양성하는 공간으로, 후에 서원으로 발전하기 전 학당의 역할을 하였다. 김수증은 자신이 사랑한 곡운구곡의 풍광을 남기고 싶어 했다. 이에 따라 1682년, 평양에서 활동한 궁중화원 조세걸에게 ‘곡운구곡도첩(谷雲九曲圖帖)’을 그리게 했다. 실경산수화와 서예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이 화첩에는 ‘와룡담’을 비롯한 아홉 곳의 절경이 담겼고, 그림마다 당대의 문인들이 쓴 시가 곁들여졌다. 이는 단순한 산수화가 아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