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무형문화재의 보전과 진흥을 위해 국립무형유산원(원장 이경훈)이 주최하고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최영창)이 주관하는 2022년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가 지난 2월 전북 부안에서 진행한 ‘위도띠뱃놀이’를 시작으로, 오는 3월부터 전국 각지에서 개최된다.
이 공개행사는 예로부터 이어진 전통의 맛을 살려 국가무형문화재에 담긴 정수 그대로 전하는 실연 프로그램이다.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무형유산 공연이나 전시와 다르게 전승자에서 다음 전승자로 이어지는 국가무형문화재 본연의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

올해 3월에는 전국 각지에서 총 4건의 공개행사를 진행한다. 성균관 대성전인 문묘(서울)에서는 공자를 비롯한 선성과 선현들에게 제사 지내는 ‘석전대제(춘기)’(3.5.)가, 민속극장 풍류(서울)에서는 황해도와 평안도 지방(서도지역)에서 전승된 민요나 잡가인 ‘서도소리’(보유자 이춘목, 3.26.)가 진행된다.

충청남도 부여에서는 백제의 멸망사와 관계있는 장군제인 ‘은산별신제’(3.23.~3.28.)가 진행된다. ‘은산별신제’는 백제 군사들의 넋을 위로하고 마을의 풍요와 평화를 기원하는 향토축제이다.

또 제주도 사라봉 칠머리당에서는 바람의 여신 영등 할머니와 바다의 신 용왕에게 마을의 풍요를 기원하는 ‘제주칠머리당영등굿’(3.16.)이 열린다. 이는 영등신에 대한 제주도 특유의 해녀 신앙과 민속신앙이 담긴 굿으로 우리나라 유일의 해녀 굿이다.
각 행사는 코로나19 방역 지침에 따라 무관중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정부 혁신의 하나로 국민의 일상에서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행사 종료 후 약 한 달 동안 전승지원통합플랫폼에서 예능 종목 실연 전 과정을 영상으로 공개한다.
국립무형유산원은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는 전통사회의 생활 풍습과 공동체 문화를 직, 간접으로 경험할 값진 기회다. 앞으로도 국립무형유산원은 국가무형문화재에 대한 국민의 참여와 관심을 모으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고 전했다.
임인년의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는 매월 전국 각지에서 개최될 계획이다. 총 181건이 계획돼 있다. 세부사항은 국립무형유산원 누리집을 방문하거나 한국문화재재단 전화(02-3011-2153)로 문의하면 일정과 장소 등을 자세히 안내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