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구름조금인천 22.8℃
  • 맑음원주 24.9℃
  • 맑음수원 24.5℃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포항 27.2℃
  • 맑음대구 26.1℃
  • 맑음전주 26.7℃
  • 맑음울산 22.5℃
  • 맑음창원 22.8℃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순천 23.0℃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맑음김해시 23.5℃
  • 맑음구미 26.7℃
기상청 제공
메뉴

(광주일보) 4월 이상 저온에…농민들 ‘발 冬冬’

보성 참두릅·나주 배·멜론 등 냉해로 생육 차질·품질 저하
당분간 평년 기온보다 2~6도 낮을 듯…15일까지 눈·비도

전남 지역 농민들이 이상기후로 농작물 수확에 어려움을 겪지 않을까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평년보다 2~6도 낮은 이상 저온이 3월 말부터 지속되면서 농작물 생육이 차질을 빚고 있고, 일부 작물은 수확에 어려움을 겪거나 품질이 나빠지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배 재배농가에서는 이미 배꽃이 피기 전 한차례 냉해를 입은 상황에서 추위가 또다시 찾아오면서 걱정이 두배가 됐다.

 

나주시 금천면에서 20년째 배농사를 짓고 있는 김준(52)씨는 최근 과수원의 절반에 가까운 배꽃이 냉해를 입었다. 인편(꽃봉오리 껍질)이 벌어진 시점에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서 꽃이 피기도 전에 씨방이 검게 괴사된 것이다.

 

김씨는 “정상적인 꽃눈은 8개 정도의 꽃망울을 틔우는데, 꽃눈 하나당 3~4개씩만 살아있는 상황”이라며 “더욱이 ‘특품’이 맺힐 가능성이 큰 꽃(한 꽃눈에서 피는 여러 개 꽃 중 일찍 핀 꽃)들이 모두 죽어버려 상품성이 떨어질 것 같다”고 걱정했다.

 

김씨는 “지난 8일부터 나흘에 걸쳐 수분작업을 진행하는 등 작업량을 평소 대비 두 배로 늘렸지만, 착과율을 장담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아무리 농사의 8할은 하늘이 짓는 것이라고 하지만, 지난해에도 다 키워놓은 배를 ‘일소(햇볕데임)’ 피해로 완전히 망쳐버렸는데 올해는 아예 농사 시작도 전에 저온 피해가 오니 갑갑하다”고 말했다.

 

영암군에서 20년째 배농사를 이어온 나상수(68)씨도 비슷한 처지다. 나씨는 “저지대 쪽은 더 피해가 컸다. 수분 작업까지 다 해놨지만 계속 이상기후 현상이 나타나니 착과율이 어떻게 될지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나씨는 “농작물재해보험에 가입해 있어도, 보상은 실제 피해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하다. 몇 년 전에도 저온으로 비슷한 피해를 봤는데, 날씨만 보고 1년 농사 다 맡기는 현실이 서글플 뿐이다”며 “지금은 나무마다 영양제를 놓으면서 최대한 버텨주도록 바라고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최명수(민주·나주 2) 전남도의원도 “배 수분 작업을 한 농가들이 많은데 최근 갑자기 낮아진 기온으로 착과율이 떨어질까 걱정하는 배 농가가 많다”며 전남도 등에 실태조사를 주문할 계획이다.

 

나주시 세지면에서 37년 넘게 멜론을 재배하고 있는 안숙자(여·69)씨는 유리창에 낀 서리를 보고 “봄이 맞나 싶을 만큼 날씨가 하루가 다르게 바뀌는데, 농민 입장에선 속수무책”이라고 한숨을 쉬었다.

 

안씨는 “춥고 흐린 날씨에 햇빛마저 들지 않으면 작물에 일조량이 부족해지는데, 그러면 멜론이 햇빛을 못 받으면서 특유의 ‘그물 무늬’가 안 생기고 품질이 크게 떨어진다”며 “하우스 농사를 지어도 날씨에 민감한 것은 매한가지다. 따뜻하기만 하면 된 것 같아도 일조량이 없으면 식물이 광합성 작용을 못 하니까 제대로 성장할 수가 없다”고 혀를 찼다.

 

보성군에서는 지난달 말 밤기온이 급격히 떨어져 참두릅농가 50여곳이 피해를 봤다.

 

참두릅은 수확 시기가 빠르고, 생육 초기 저온에 민감한 작물인데 저온으로 두릅 순이 얼게 되면서 출하를 못하게 된 것이다.

 

전남지역의 경우 지난해도 잦은 비와 일조량 부족, 이상기온(2월 고온·4월 저온) 등의 영향으로 농작물 피해가 심각했다.

 

전남도는 2018~2024년 간 저온 피해로 입은 농작물 피해만 4만 3529㏊에 달했다.

 

4월 기준으로도 최근 4년 간 전남에서 저온으로 피해를 입은 농작물 면적은 3209㏊(2021년), 7127㏊(2023년) 등이다.

 

올해도 비슷해 광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보성지역 최저기온은 5.8도였다가 사흘뒤인 31일 영하 2.9도로 8.7도가 떨어졌다.

 

당분간 이상저온은 이어질 전망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14일 아침 최저기온은 4~9도, 낮 최고기온은 13~16도 수준으로 평년(최저 4~10도, 최고 16~21도)보다 2~6도 가량 낮다. 15일 아침에는 최저 2~7도, 낮 최고 13~17도로 예상된다.

 

14일 새벽에는 일부 지역에 비 또는 눈 예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