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강릉 11.9℃
  • 맑음서울 14.4℃
  • 맑음인천 13.5℃
  • 맑음원주 12.6℃
  • 맑음수원 12.2℃
  • 맑음청주 15.1℃
  • 맑음대전 14.4℃
  • 맑음포항 12.5℃
  • 맑음대구 16.3℃
  • 맑음전주 14.4℃
  • 맑음울산 12.4℃
  • 맑음창원 16.3℃
  • 맑음광주 15.2℃
  • 맑음부산 18.6℃
  • 맑음순천 11.1℃
  • 맑음홍성(예) 13.5℃
  • 맑음제주 19.3℃
  • 맑음김해시 17.3℃
  • 맑음구미 14.8℃
기상청 제공
메뉴

(전북일보) [임진왜란·정유재란 속의 전북] 전국단위로 활약한 전북의병

1592년 임진왜란 직후, 유팽로 순창서 전국 최초 의병
고경명, 칠백의사 당시 전라도인 금산에서 왜군과 접전
장성남문의병 왜란초부터 정유재란까지 전국 단위 전투
고창 의병장 채홍국 평강 채씨 문중 인사 부안 호벌치 혈전

 

전북 임진왜란사를 논할 때 의병은 빼놓을 수 없는 주제다. 왜란당시 이 지역 의병은 전국적으로 처음 거병했으며, 정유재란까지 전국 단위의 전투를 치렀다. 현 전북지역을 포함한 전라도 중서부지역 16개 고을의 사림들이 문중과 가솔을 데리고 참여한 장성남문의병이 대표적인 사례다.

희생도 적지 않았다. 많은 의병들이 전사했는데, 2차 진주성전투에 참여한 의병들은 대부분 순절했다. 특히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전라도 점령을 주된 목표로 일으킨 정유재란 때는 호남 전역이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의병의 실상을 전하는 사료가 부족한데다, 경상도 중심의 의병연구 패러다임으로 인해 전라도 의병의 위상이 주목받지 못했다는 게 학자들의 평가다. 이번 기사에선 왜란초기 전북 의병의 활동양상, 장성남문의병의 전투, 전북 의병의 성격과 의의 등을 재조명한다.

 
전국최초 의병

 


1592년 임진왜란 발발직후, 4월 20일 순창에서는 유팽로가 전국 최초로 의병을 일으켰다. 이는 순창 지역 민중들이 경상도 지역의 왜군 피해 소식을 접한 뒤, 민심이 흉흉해진 상황과 관계가 있다. 일부 민중들은 산속으로 숨어들어가거나 왜군의 편에 서려고 했다. 유팽로의 시문집 ‘월파집’에는 “왜적의 기세가 승승장구했다. 부랑배들은 성을 미리 점령한 뒤 왜적에 붙으려고 했다”고 나와 있다.

나종우 전북문화원연합회장(원광대 사학과 명예교수)는 “사료를 보더라도 전라도가 왜군의 침략소식으로 상당히 동요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팽로는 인근 지역을 돌아다니면서 광주의 고경명, 남원의 양대박, 순창의 양사형, 동복의 정약수 등에게 거병을 촉구했다. 이 때문에 김천일, 고경명과 함께 전라도 의병운동에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고 있다.

반면 경상도는 4월 22일 의령에서 곽재우가 거병했으며, 뒤이어 합천에서 정인총, 거창에서 김면이 각각 거병했다.
 

금산성 전투

 

 

고경명의 의병과 곽영이 이끄는 관군은 7월 9일 고바야카와 다카가게 군대가 점령하고 있던 금산성을 협공했다. 조선시대 금산은 전라도였다.

그러나 다음날 전투에서 관군이 무너지고 수세에 몰렸다. 의병 역시 퇴각할 수밖에 없었다. 이 과정에서 유팽로는 고경명이 탈출하지 못했다는 소식을 듣고 다시 적진에 들어갔는데, 결국 고경명·안영과 함께 순절했다. 고경명의 아들 고인후도 이 싸움에서 전사했다.

이로부터 40여일 후인 8월 18일, 의병장 조헌과 영규대사가 이끄는 칠백의사들은 금산에서 다시 왜군과 격전을 벌였다. 그러나 모두 순절했다. 순창출신 의병장 한응성도 이 전투에서 전사했다.

두 차례에 걸친 전투에서 모두 패했지만 전투의 성과는 높게 평가받고 있다. 고바야카와 군에게 타격을 입혀 전주성 공격을 저지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장성남문의병

 

 

 

금산성을 비롯한 여러 전투에서 패전 소식이 전해지자, 김경수는 7월 18일 종제 김신남과 아들 김극후·김극순, 기효간, 윤진 등과 장성 남문에 의병청을 설치하고 격문을 띄워 의병과 군량을 모집했다.

진용을 갖추는 데는 총 3개월이 걸렸다. 정읍, 태인, 고부, 고창, 흥덕, 무장, 부안, 금구, 순창 등 전라도 중서부 지역 16개 고을에서 의병 1620여 명이 운집했고, 군량 486석이 모아졌다.

참여한 신분도 다양했다. 지방 수령과 관군, 학연을 기반으로 하는 사림, 문중과 그에 딸린 가솔, 사찰승려, 노비 등이 의병에 자원했다.

한문종 전북대 사학과 교수는 “장성남문의병은 학연과 혈연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신분계층을 초월한 의병 연합체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다”고 분석했다.

장성남문의병은 3차례에 걸쳐 활동했다. 1차는 1592년 11월 24일 태인-전주-여산-천안-평택-안성-용인까지 북상했다가 1593년 2월 17일에 장성으로 돌아온 기간이다. 당시 의병장 김제민은 김홍우·김신남 등과 의병 1620여 명을 이끌고 북상해, 직산·진위·소사에서 왜군과 싸워 전과를 올렸다. 이와 함께 장성 의병청에 머무르던 김경수와 기효간은 의주 행제소, 영남 곽재우 의병소 등 각 지역 의병소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2차는 경상도로 진출해 진주성 싸움에 참여한 1593년 5월 29일~6월 29일까지의 시기다. 당시 김극후는 진주성으로 가서 의병장 김천일·고종후 군과 합세한 뒤, 성을 포위하고 있던 왜군과 전투를 벌였다. 그러나 당시 폭우로 진주성 동쪽 성벽이 무너졌고, 이틈을 타 왜군은 대대적인 공격을 감행했다. 결국 장성남문의병 대부분이 순절했다. 한 교수는 “전투는 패했지만 왜군에게 큰 손실을 입혔다”며 “이는 정유재란 이전까지 전라도를 보존할 수 있도록 한 계기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3차 의병은 정유재란시기 1597년 8월 16일부터 9월 10일까지 활동했다. 당시 의병의 목표는 북상해 왜군을 공격해 진주성 싸움에서 순절한 남문의병의 원한을 갚는 것이었다. 사료 ‘남문창의록’에 따르면, 의병대장 김경수는 종제 김신남에게 “지난 임진난때 두 아들(김극후, 김극순)이 전사한 뒤부터 날마다 원수갚을 일만 생각해왔다”며 의병 규합을 요청했다. 그 결과 3차 남문의병이 다시 결성됐다. 이들은 북상한 뒤, 경기도 소사에서 일본군을 대파하고 조선인 포로 남녀 17여명을 구출하는 전과를 거뒀다.

 
남원성·부안 호벌치 전투

3차 장성남문의병이 활동하기 직전인 1597년 7월, 왜군의 좌군대장 우키다 히데이에와 고니시유키나가는 구례와 운봉에 집결해 남원성을 포위했다. 당시 남원은 경상도에서 전라도로 넘어오는 관문으로, 조정에서도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었다. 전라병사 이복남, 방어사 오응정, 중군 이신방, 천총 장표 등 조명연합군은 방어에 나섰다. 의병은 박계성, 오흥업, 강복덕 등이 거느린 군대가 전투에 참전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8월 13일부터 16일까지 치열한 전투를 벌였지만, 완전히 궤멸 당했다. 그 결과 전라도민 2만4394명의 코가 잘려나갔고. 남원 도공들도 대거 잡혀갔다. 이와 함께 전라도 전역 대부분은 혼란 상태에 접어들었다.
 

 


 

같은 시기 부안·고창 흥덕면 남당에서도 의병들이 해안 지역에 침투한 왜군들과 전투를 치열하게 벌였다. 당시 고창 의병장 채흥국과 평강채씨 문중 인사들, 고덕붕, 조익령은 격문을 돌려 의병을 모은 뒤, 삽혈동맹을 맺었다. 이들은 호벌치에서 일대 혈전을 치렀으나 왜군을 격퇴하지 못하고 전사했다.

조원래 순천대 사학과 명예교수는 “무명의 향촌선비들과 농민·천민·승려계층이 하나로 결합, 최후까지 침략군에 대항하여 싸운 의병항쟁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평가했다.

김세희 saehee0127@jja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