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강릉 27.7℃
  • 맑음서울 24.4℃
  • 맑음인천 20.4℃
  • 맑음원주 24.7℃
  • 맑음수원 24.2℃
  • 맑음청주 26.4℃
  • 맑음대전 25.2℃
  • 맑음포항 27.4℃
  • 맑음대구 27.5℃
  • 맑음전주 24.4℃
  • 맑음울산 24.5℃
  • 맑음창원 26.2℃
  • 맑음광주 26.4℃
  • 맑음부산 22.0℃
  • 맑음순천 25.2℃
  • 맑음홍성(예) 23.4℃
  • 맑음제주 20.3℃
  • 맑음김해시 24.3℃
  • 맑음구미 26.5℃
기상청 제공
메뉴

(경인일보) [경인지역 관광의 미래·(下)] 빛나는 아이디어가 '발길' 이끈다

풍부한 자원, 새 활용전략 필요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다. 부산하면 해운대가 떠오른다. 전라도는 식도락의 대명사다. 휴양의 성지로는 제주도가 있다. 그렇다면 경기도와 인천을 대표하는 관광 명소 혹은 테마는 무엇일까. 머릿속에 여러 가지가 맴도는데, 단번에 대답하긴 어렵다. 경인 지역 관광산업이 직면한 현실이다.

경기도와 인천의 관광 인프라가 부족한 탓일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관광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관광 장소 및 시설' 등을 포함한 전국 관광 자원 3천239개 가운데 451개(13.9%)는 경기도에 위치한다. 인천은 92개(2.8%)로, 경인 지역에만 15% 이상 몰려 있다. 적어도 '볼 게 없는' 지역은 아님을 의미한다. 

전국 관광자원 15% 이상 있지만
한번에 떠오르는 '이미지' 없어

오히려 경인 지역에는 옛것과 새것의 정취를 모두 경험할 수 있는 볼거리가 많은 편이다. 경기도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수원화성과 남한산성부터 DMZ(비무장지대)라는 대표적인 안보 관광지를 보유하고 있다. 개항장으로서 인천은 근대 문화유산뿐만 아니라, 168개 섬을 포함한 다양한 해양자원을 가졌다.

관광지로서 경인 지역의 일차적인 장점은 '다채롭다'는 데 있다. 요식업에 비유하면 양질의 다양한 음식을 대접하는 뷔페인 셈이다. 하지만 대표 메뉴가 없다는 한계도 동시에 노출한다. 경기도와 인천이 지역을 대표하는 관광 콘텐츠를 만들고자 숙고하는 가장 큰 이유다.

인천발전연구원(현 인천연구원)은 지난 2017년 펴낸 '인천 관광 콘텐츠, 가치를 창출하다'의 서문에서 "풍부한 자산·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인천의 잠재성과 가치를 어떻게 관광객들에게 전달할 것인가. 그리고 어떻게 인천관광을 흥미롭고, 즐거운 경험으로 만들 것인가에 대한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인천 관광의 현주소를 평가한 바 있다.

경기도가 가진 고민 역시 비슷하다.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면적이 넓은 경기도의 관광지는 31개 시·군에 흩어진 형태다. 곳곳에 산재한 관광 자원을 씨줄과 날줄을 엮듯 하나의 관광 상품으로 만드는 작업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표상품 만드는 것 당면 과제
'산업+관광' 등 변화의 바람도

"참 좋은 곳이 많은데, 어떻게 설명할 방법이 없다." 업계 관계자들이 전한 경기도 관광 산업의 오늘이다. 경기관광공사 관계자는 "31개 시·군에 다양한 관광 브랜드가 있다는 게 경기도의 장점이자 단점"이라며 "'다채로운 경기도'도 좋지만, 명확하게 특징을 살린 관광 슬로건을 내세울 수 있도록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기도와 인천의 관광 산업이 당면한 과제는 각 지역을 대표하는 관광 상품을 만드는 것이다. 핵심은 활용법이다. 경기도와 인천이 보유한 수많은 관광 자원을 '어떻게' 매력적인 상품으로 만들지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이들 지역은 일종의 '킬러 콘텐츠'를 만들고자 이미 여러 가지 시도를 하고 있다. 지역 산업과 관광을 결합한 '산업 관광'을 기획하거나, 정체된 관광 산업에 변화의 바람을 불어넣을 스타트업 발굴에도 눈을 돌리고 있다.

이 같은 아이디어가 경기도와 인천 관광의 새로운 미래를 열 수 있을까. 그 가능성을 들여다본다. → 관련기사 2([경인지역 관광의 미래] 경기도의 새 전략 '산업 관광')·3면([경인지역 관광의 미래] 미래 아이디어 꿈틀대는 '인천 스타트업')

/기획취재팀
 

※기획취재팀

글 : 김대현차장, 손성배, 배재흥기자

사진 : 강승호차장, 조재현, 김금보기자

편집 : 김동철차장, 장주석기자

그래픽 : 박성현, 성옥희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