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전주박물관(관장 홍진근)이 오는 8월 17일까지 지방 소재 국립박물관 최초로 이집트 관련 전시를 연다.
전시의 주제는 <이집트-삶, 죽음, 부활의 이야기>로, 실제 미라를 비롯해 고대 이집트 문화재 94점을 선보인다. 전시된 작품은 미국 브루클린박물관 소장품이다. 미국 브루클린박물관은 세계적으로 이집트 관련 컬렉션으로 손꼽히는 박물관 중 하나다.
이집트 문명은 세계 4대 문명 중 하나로 나일 강을 중심으로 태동하기 시작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고대 이집트 사람들의 삶과 죽음, 그들이 그토록 바라고 바랐던 부활에 대해 이야기한다. 전시장은 총 4개의 공간으로 구성돼 있다.

첫 번째 전시장에는 고대 이집트 신들의 조각상과 이집트인의 일상을 알 수 있는 생활용품이 전시돼 있다. 죽은 사람의 부활을 심판하는 이집트 최고의 신 중에 한 명인 오시리스(Osiris) 조각상은 작지만 뛰어난 균형미를 보이는 조각상이다. 또 토트 신의 아바타로 여겨지는 현대미술 작품과도 ‘따오기의 관’도 있다.

이집트 사람들은 사막의 뜨거운 태양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화장을 했다. 전시장에서는 지금의 아이라이너와 비슷한 당시 화장품 ‘콜’(Kohl)을 바르는 화장도구와 미의 여신으로 장식된 거울도 볼 수 있다.

두 번째 공간에서는 이집트의 가장 유명한 파라오 중 하나인 람세스 2세의 조각이 관람객을 맞이한다. 람세스 2세는 우리나라의 고구려 장수왕과 비슷하게 70여 년에 이르는 오랜 통치기간과 영토를 넓게 확장했던 왕이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파라오 조각상은 당장이라도 말할 것처럼 사실적으로 조각돼 있다. 이어 부활과 영생이 이집트인에게 얼마나 간절한 것이었는지를 무덤에서 출토된 여러 가지 물건을 통해 알 수 있도록 기획했다.

세 번째 공간에서는 고대 이집트의 역사가 지금까지 전해질 수 있었던 이유인 히에로글리프(상형문자)에 대해 자세히 소개한다. 여러 가지 비석과 조각상에 새겨진 상형문자는 이집트 사람들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전하고 있다.

마지막 공간에서는 전시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실제 미라가 전시돼 있다. 관람객은 이곳에서 영원한 삶을 살고자 했던 고대 이집트인 토티르데스의 관에서 확인된 실제 미라와 완벽한 부활을 위한 일종의 기도문이자 커닝 페이퍼와 같은 사자의 서와 마주하게 된다.
관람객의 전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오는 22일부터 8월 17일까지 매주 화요일 오후 2시에 <큐레이터가 들려주는 이집트 특별전>도 진행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현재 국립전주박물관 SNS에서는 전시 홍보 이벤트도 진행 중이다.
국립전주박물관 홍진근 관장은 “이번 기회를 통해 평소에 쉽게 접할 수 없는 고대 이집트의 문화유산을 직접 보고 당시 사람들의 숨결과 발자취를 느껴보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더 자세한 사항은 박물관 누리집을 참고하거나 전화(063-220-1037, 1067)로 문의하면 된다. 관람료는 무료다. 현재는 사전 예약 없이 관람할 수 있으나 정부의 방역 지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