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제주~중국 칭다오 간 국제화물선이 취항했지만, 물동량의 불확실성은 개선되지 않았고 중국 선사와 체결한 협정도 불공정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남근 제주도의회 의원(국민의힘·비례대표)은 11일 444회 정례회 도정질문에서 “10월 첫 취항에서 중국 측에서 실어온 수입 물량은 38개 컨테이너에서 2항차는 12개, 3항차는 단 1개의 컨테이너가 수입됐다. 언제까지 물동량 확보 방안을 반복적으로 묻고 답해야하는가”라며 질타했다.
이어 “중국 선사가 불가항력 및 국가정책 조정 등 사유로 일방적으로 철수할 경우, 제주도의 해지권 규정이 없어 협정 해지의 불균형이 있다”고 지적했다.
오영훈 지사는 “내년 1월 칭다오 연락사무소를 개소해 수출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테무와 알리익스프레스 등 전자상거래 물류 기업과 협력을 확대하겠다”며 “투자가 없이 기대 수익은 있을 수 없다. 항로가 안정적으로 운영되려면 1~2년 정도의 시간은 필요하다”고 답했다.
제주에서 제작된 위성이 내년 3월 제주도 해상에서 발사될 예정이다.
오 지사는 이경심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의 질의에 대해 “제주한화우주센터는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한 달에 4기에서 8기의 제주산 위성을 생산하게 된다”며 “내년 3월부터 제주도 해상에서 위성 발사가 예정돼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내년을 제주 우주산업의 전환점으로 삼고, 제주한화우주센터를 중심으로 생산과 정보활용, 실증까지 아우르는 독자적인 공급망을 갖춘 우주산업 생태계를 만들고, 협약형 특성화고와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으로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오 지사에 따르면 서귀포시 하원테크노캠퍼스(옛 탐라대학교)에 연면적 1만1443㎡에 지상2층·지하 1층 규모의 제주한화우주센터(위성개발·제조시설)가 지난달 30일 준공됐다.
오 지사는 “도내 7개 우주산업 기업·기관 근무자 150명 중 60%인 89명이 제주도민”이라며 “하원 테크노캠퍼스 준공과 우주기업 정착 등이 이뤄지면 제주 기반산업으로 자리 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심 의원이 제주형 고급 간선급행버스체계(BRT)에 대해 묻자, 오 지사는 “제주형 BRT 고급화 사업은 기존 준공된 서광로를 포함해 동광로, 도령로, 노형로까지 계획이 돼 있다”며 “앞으로 방향을 유지하되 도민 수용성을 높이고 서광로 BRT의 문제점을 해소한 후 곧바로 동광로와 그 이외의 도로로 확대하겠다”고 답했다.
강성의 의원(더불어민주당·화북동)은 “공무원 정원이 민선 8기에 6507명으로 (민선 7기 보다) 201명 증가했고, 5급 이상과 파견 인원의 증원이 굉장히 높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11월 7일 입 예고된 조직개편에서 공무원 정원을 26명 늘리고 있다”며 “공무원 증원은 인건비 증가로 이어지고, 인건비는 경직성이어서 허리띠를 졸라 묶으려 해도 그럴 수 없다”고 비판했다.
오 지사는 “일선 소방서에서 현장대응단을 운영하고 있는데 2교대에서 3교대로 바꾸고, 행정시 재난안전상황실 전담 인력을 16명 증원하고 있다”며 “공무원 증원은 현장 지원 강화로 이해해 달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