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유력 대권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또 '역사인식 논란'에 휘말렸다. 윤 전 총장 캠프에서 광복절인 지난 15일 윤봉길 의사의 글을 올리면서 안중근 의사 영정을 참배하는 사진을 올린 것이 문제가 됐다.
논란이 커지자 윤 전 총장 측은 "사진과 함께 올린 글은 해당 사진의 내용이 아닌 전체 당일 행보에 대한 글"이라고 해명했다.
윤 전 총장은 지난 15일 서울 용산구 효창공원 내 독립운동가 7인의 영정을 모신 의열사를 찾아 참배했다. 같은 날 윤 전 총장 캠프 측은 페이스북 계정인 '윤석열 국민캠프' 페이지를 통해 참배 현장 사진 6장을 공개했다.
이와 함께 "너희들이 만약 장래에 피가 있고 뼈가 있다면 조선에 용감한 투사가 되어 태극의 깃발을 높이 드날리고, 나의 빈 무덤 앞에 찾아와 술잔을 부어 놓아라. 1932년 12월19일 윤봉길 의사"라는 문구를 남겼다.
문제는 6장의 사진 중 윤 전 총장이 안중근 의사 영정 사진에 술잔을 올리는 사진이 첫 사진으로 걸리면서 역사인식 논란이 불거졌다. 윤 전 총장 측이 안중근 의사와 윤봉길 의사를 혼동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논란이 불거지자 17일 현재 해당 사진은 윤 전 총장이 서울 서대문구 서대문독립공원 독립관을 찾아 참배를 마친 후 위패를 살펴보는 사진으로 바뀌었다.

여권에선 윤 전 총장을 비판하는 글들이 이어지고 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은 지난 16일 페이스북에 윤 전 총장 측이 올린 게시글을 캡처한 사진을 올리며 "삭제된 포스팅"이라고 적었다. 윤 전 총장이 안중근 의사와 윤봉길 의사를 헷갈리는 '실수'를 한 뒤 '삭제'했다는 의미로 읽힌다.
김광진 전 청와대 비서관도 페이스북을 통해 "윤봉길 의사의 뜻을 담아서 안중근 의사에게 술을 올리는 거. 저만 이상한가요"라고 꼬집었다.
윤 전 총장의 '역사인식 논란'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달 27일 부산 민주공원을 찾은 윤 전 총장은 이한열 열사가 연세대 정문 앞에서 최루탄을 맞고 피를 흘리는 모습의 조형물을 보면서 "이건 부마(항쟁)인가요"라고 말해 비판 여론이 일기도 했다.
이에 윤 전 총장은 같은 달 30일 국민의힘 당사에서 가진 입당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당시 제가 27살이고 저희 집도 연대 앞이었다"며 "도대체 이한열 열사가 최루탄을 맞고 쓰러진 사진을 모르는 사람이 제 나이 또래 중에 누가 있겠는가"라고 해명했다.
최창희 기자 cchee@i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