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강릉 1.3℃
  • 서울 3.2℃
  • 인천 2.1℃
  • 흐림원주 3.7℃
  • 흐림수원 3.7℃
  • 청주 3.0℃
  • 대전 3.3℃
  • 포항 7.8℃
  • 대구 6.8℃
  • 전주 6.9℃
  • 울산 6.6℃
  • 창원 7.8℃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순천 6.7℃
  • 홍성(예) 3.6℃
  • 흐림제주 10.7℃
  • 흐림김해시 7.1℃
  • 흐림구미 5.8℃
기상청 제공
메뉴

(광주일보) 물방울·사진…제2 고향 제주에 ‘예술의 섬’ 만들다

(7) 제주도립김창열 미술관·김영갑갤러리 두모악
●김창열미술관
한국추상미술 거장 2016년 개관
回(회)자 모양 미술관 자체 작품
한국전 피해 제주 1년 6개월 머물러
●김영갑갤러리 두모악
억새·오름 등 매료돼 섬에 장착
20년간 제주 풍광 앵글에 담아
폐교 주변 돌·토우 등 볼거리 풍성

 

 

이중섭, 김창열, 김영갑, 이왈종….

‘내로라’ 하는 이들 작가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타 지역 출신이지만 제주도와 특별한 ‘인연’을 맺은 작가들이라는 점이다. 평안남도 출신인 서양화가 이중섭(1916~1956)은 6·25 한국전쟁 당시 제주로 남하해 1년간 서귀포 칠십리에서 살았고, ‘물방울화가’ 김창열(1929~2021) 역시 전쟁을 피해 1년 6개월 이곳에 머물렀다. 충남 부여가 고향인 사진작가 김영갑(1957~2005)은 제주도의 아름다운 풍광에 매료돼 1985년 섬에 둥지를 틀었고, 경기도 화성 출신인 이왈종(76) 화백도 1990년 대 초 서귀포에 내려와 ‘제주생활의 중도’ 시리즈 작업을 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비록 세 사람은 세상을 떠났지만 제주도에 가면 이들의 예술혼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이중섭미술관과 초가, 제주도립김창열 미술관, 김영갑 갤러리 두모악 덕분이다. 이들 미술관은 차별화된 컬렉션과 프로그램으로 제주의 문화명소이자 브랜드로 자리잡았다.

#제주도립김창열미술관

제주의 문화지구로 지정된 저지예술인마을(제주시 현경면 저지리)에 가면 현무암으로 마감된 독특한 건축물이 눈에 띈다. 멀리서만 봐도 범상치 않은 존재감을 자랑하는 김창열 미술관이다. 건축가 홍재승씨의 설계로 지난 2016년 개관한 미술관은 올해 초 92세로 세상을 떠난 한국추상미술 거장의 치열한 예술세계를 한눈에 살펴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심플한 디자인의 블랙톤 외관과 미술관 입구의 물방울 조형물이 인상적인 이곳은 저지예술인마을의 구심체이기도 하다.
 

제주도가 총사업비 92억 원을 투입해 지상 1층, 연 면적 1597㎡ 규모로 건립한 미술관은 건물 자체가 하나의 ‘작품’이다. 미술관을 공중에서 내려다보면 한자 돌아올 회(回) 모양이다. 김 화백은 캔버스의 물방울 작업을 통해 모든 것을 무(無)로 돌려보낸다는 의미를 담아냈다. 미술관의 중심인 빛의 중정에 분수를 설치해 물방울을 표현한 건 그런 이유에서다.

그의 이름을 딴 도립미술관이 제주에 들어선 데는 특별한 사연이 있다. 김 화백은 평안남도 맹산 출신으로 6·25전쟁 당시 1년 6개월가량 제주에 머물렀다. 1949년 서울대 미대에 입학했지만 6·25 전쟁으로 학업을 중단한 그는 1952년 제주로 피난온 후 애월, 함덕 등에서 거주하며 화가의 꿈을 키웠다. 1955년 고등학교 교사 자격검정시험에 합격해 서울에서 한때 미술교사로 일했고, 1957년에는 박서보, 정창섭 등과 함께 한국현대미술가협회를 결성해 앵포르멜 미술운동을 주도했다.

이후 세계무대로 진출하기 위해 1961년 파리 비엔날레 참가를 계기로 1972년부터 유럽화단에서 본격적인 활동을 펼쳤다. 60세 이후 물방울 작품에 몰두했던 그는 실향의 아픔을 달래기 위해 제주를 제2의 고향으로 여겼다. 이런 인연을 매개로 제주도로 부터 미술관 건립을 제안받은 그는 지난 2013년 자신이 소장하던 작품 중 220점을 엄선해 기증했다. 소장품 가운데에는 ‘밤에 일어난 일’, ‘물방울’, ‘회귀, Recurrence’ 등이 포함돼 있다.

올해로 개관 5주년을 맞는 미술관은 올해 1월 김 화백이 타계한 이후 전국 각지에서 몰려 드는 관람객들로 붐비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속에서도 1만 여 명의 방문객이 다녀가는 등 ‘예술의 섬’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공간으로 부상하고 있다.

 

 

#김영갑갤러리두모악

‘가장 제주다운 곳을 보고 싶다면 김영갑갤러리 두모악으로 가라.’ 한번쯤 이 곳을 다녀간 이라면 공감할 만큼 매력적인 곳이다. 한라산의 옛 이름인 ‘두모악’은 옛 삼달초교를 개조해 20여 년간 제주도의 아름다운 풍광을 앵글에 담아온 사진작가 김영갑의 작품을 상설 전시하고 있는 갤러리이다.

그래서일까. 김영갑갤러리 두모악(서귀포시 성산읍 삼달로 137·이하 김영갑 갤러리)은 방문객에게 색다른 감흥을 안겨준다. “외진곳까지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갤러리에 들어선 순간, 주황색 모자와 원피스 차림의 조각상에 새겨진 말 한마디가 먼 걸음을 한 방문객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감싼다. 폐교 주변을 둘러싼 꽃과 나무, 구멍이 숭숭 뚫린 검정색 돌, 그리고 그 사이에 자리하고 있는 순박한 인상의 토우까지 흥미로운 볼거리로 가득하다.

건물 안으로 들어서면 김영갑 갤러리의 과거를 되돌아 볼 수 있는 공간과 자료들이 꾸며져 있다. 가장 먼저 폐교에 온기를 불어 넣었던 고 김영갑(1957~2005) 사진작가의 유품전시실이 나온다. 그의 손때가 묻은 여러 대의 카메라와 책장을 가득 메운 책, 각별한 우정을 나눴던 도예가 김숙자의 토우들이 그대로 보전돼 있다.

그 옆에는 그의 생전 모습을 볼 수 있는 영상실과 루게릭병으로 투병하면서도 카메라를 놓지 않았던 작가의 열정이 묻어나는 대형 흑백사진이 자리하고 있다. 사실, 김영갑갤러리가 특별한 건 그의 평범치 않은 삶을 들여다 볼 수 있어서다. 1957년 충남 부여에서 태어난 그는 서울에 주소지를 두고 1982년부터 제주도를 오르 내리며 사진작업을 하던 중 억새와 오름, 바람 등 아름다운 풍경에 매료돼 1985년 아예 섬에 정착했다. 밥 먹을 돈을 아껴 필름을 사고 배가 고프면 들판의 당근과 고구마로 허기를 달래며 열정과 영혼을 바쳐 섬의 ‘외로움과 평화’를 카메라에 담아냈다.

 

 

수많은 제주도의 풍경 사진을 전시할 공간을 물색하던 그는 허물어져가던 삼달분교를 구입해 자신만의 갤러리로 꾸미기 시작했다. 하지만 얼마 후 청천벽력과도 같은 루게릭병이라는 진단을 받게 됐다. 3년을 넘기지 못할 것이라는 의사의 말에도 그는 좌절하지 않았다. 점점 퇴화하는 근육을 놀리지 않기 위해 손수 돌과 나무를 심고 폐교를 리모델링한 끝에 마침내 지난 2002년 갤러리를 개관했다.

갤러리 안쪽으로 발걸음을 옮기면 메인전시관인 ‘두모악관’과 ‘하날 오름관’을 만날 수 있다. 무거운 카메라를 들고 거친 제주의 오름과 들판을 누비며 앵글에 담은 작품들은 지금은 사라진 제주의 모습과 쉽게 드러나지 않는 제주의 속살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갤러리 뒷편에는 과거 숙직실을 산뜻하게 단장한 무인카페와 오래된 장독들이 시선을 끈다. 특히 투병생활 중에서도 손수 일군 야외 정원은 방문객들이 잠시 쉬어갈 수 있는 명상의 공간으로 인기가 높다. 정성을 들여 가꿨지만 작위적인 느낌이 들지 않고 자연스러운 풍경이 마치 그의 작품을 보고 있는 듯 하다.

/제주=박진현 문화선임기자 jhpark@kwangju.co.kr

 

많이 본 기사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