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강릉 16.6℃
  • 맑음서울 19.0℃
  • 맑음인천 16.4℃
  • 맑음원주 19.1℃
  • 맑음수원 19.0℃
  • 맑음청주 20.9℃
  • 맑음대전 19.8℃
  • 맑음포항 15.2℃
  • 맑음대구 22.0℃
  • 구름조금전주 18.5℃
  • 맑음울산 21.7℃
  • 맑음창원 23.3℃
  • 맑음광주 19.8℃
  • 맑음부산 20.9℃
  • 맑음순천 19.8℃
  • 맑음홍성(예) 18.2℃
  • 맑음제주 22.5℃
  • 맑음김해시 23.0℃
  • 맑음구미 20.6℃
기상청 제공
메뉴

(경남신문) 길어지는 레미콘 파업에 건설업계 직격탄

창원·밀양 등 지난달 18일 파업 돌입
사측과 운송비 인상 이견 커 협상 난항
건설사, 공기 지연 지체상금 우려

경남 레미콘 기사들이 운송비 인상을 요구하며 파업에 나선 지 3주가 됐지만 노사간 타협점을 찾지 못해 줄다리기 협상이 이어지고 있다. 레미콘 업계는 장기화된 파업에 운영난을 호소하고, 건설현장 역시 공사가 중단돼 건설사와 일용직 노동자들의 피해가 우려된다.

 

전국건설노동조합 경남건설기계지부 레미콘지회(이하 노조)는 지난달 18일 경남도청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총파업에 돌입했다. 창원·밀양·창녕·함안·의령 등 경남 동부지역 조합원들이 31개 제조사를 상대로 인상비를 요구하고 있다.

 

 

경남지역 레미콘 사측 대표단인 마창레미콘발전협의회(이하 협의회)와 노조는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 협의회는 부산권역의 합의(회차당 9000원) 수준을 제시하고 있는데 노조가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운송비 인상(1회당 4만6000원→9만6000원)을 요구해 협상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협의회 관계자 A씨는 “협상에 진척이 없는 아니다”며 “레미콘 회사별 분회장을 통해 의견 조율 후 그 결과를 두고 10일께 협상을 재개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파업이 길어지자 협의회는 “경남동부 31개 레미콘 제조사는 민주노총 소속 레미콘 운반사업자의 과도한 운반비 인상 요구와 파업에 반대하며, 건설현장을 볼모로 한 단체행동을 자제하고 당사자간 성실한 협의를 통해 상생할 수 있도록 협력을 요구한다”는 내용의 호소문을 발표했다.

 

협의회에 따르면 창원권역 레미콘업계는 시멘트, 모래, 자갈, 유류 등 가속되는 원자재가격의 상승과 코로나19로 인한 건설경기 침체와 맞물리면서 공장가동율이 30%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A씨는 “올 1월 기준 L(리터)당 1453원 유류대(경유)가 6월 현재 2000원으로 37% 올랐지만 제조사(레미콘사)가 100%(일부회사 60~70%) 부담해 운송사업자의 수익구조를 개선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로 유연탄값 폭등과 제조원가 상승으로 시멘트 가격이 전년 대비 21% 이상 올라 업체들이 도산 위기에 처해있는 실정이다”고 말했다.

 

파업이 장기화되면서 건설현장도 타격을 입고 있다. 도내 건설사 관계자는 “공기 지연으로 물어야 하는 지체상금이 큰 걱정이다”며 “민간공사의 경우 발주처인 시행사들과 도급계약을 맺을 때 대부분 물가변동 배제특약을 걸어 자재가격 인상분 등 공사비 증액을 시공사가 떠안는 실정이어서 업체의 부도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

 

공사현장이 멈추면서 일용직 노동자들도 생계를 걱정하고 있다. 한 건설노동자는 “시멘트를 부어야 일을 할 수 있는데, 파업 후 일손을 놓고 있다”며 “2년 전에도 한 달 넘게 쉬어 가계 부채가 늘었는데 올해도 파업이 길어지니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고 말했다.

 

경남도와 대한건설협회 경남도회는 파업 장기화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경남도 건설지원과에 따르면 도 발주공사 가운데 레미콘 공정이 중단된 곳은 사방사업 현장 9곳이다. 골조 공사 중인 도내 아파트 공사 현장 5곳도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도 건설지원과는 “파업이 길어지면 중단되는 현장이 더 늘어날 수 있다”며 “노사 양측과 지속적으로 접촉해 조속히 타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한건설협회 경남도회 관계자는 “원자재 가격 급등과 파업 장기화로 피해를 호소하는 건설사가 늘어나고 있다”며 “필요 땐 공사중단이나 지연 등으로 피해를 입은 도내 건설사들을 현황을 파악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정민주 기자 joo@k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