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강릉 1.3℃
  • 서울 3.2℃
  • 인천 2.1℃
  • 흐림원주 3.7℃
  • 흐림수원 3.7℃
  • 청주 3.0℃
  • 대전 3.3℃
  • 포항 7.8℃
  • 대구 6.8℃
  • 전주 6.9℃
  • 울산 6.6℃
  • 창원 7.8℃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순천 6.7℃
  • 홍성(예) 3.6℃
  • 흐림제주 10.7℃
  • 흐림김해시 7.1℃
  • 흐림구미 5.8℃
기상청 제공
메뉴

(대전일보) 주택시장 불안·금리 인상 무주택 서민 주택난 '심화'

대전 아파트 전셋값 13.6%↑…대출금리 2주만에 0.3%P 상승

 

 

매매가 폭등 등 주택 시장의 불안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대출 규제와 대출금리 인상이 맞물려 청년층을 중심으로 무주택 서민의 주택난이 극심해지고 있다. 최근 가파르게 치솟는 전·월세 가격에 더해 은행 대출금리 인상 속도가 심상치 않아서다. 더욱이 코로나19 이후 전 연령 중 청년층의 주택 임차를 위한 대출 증가세가 두드러지면서 대출 부실 가능성도 우려로 떠오르고 있다.

 

22일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의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새 임대차보호법 시행 직후인 지난해 8월부터 올 8월까지 1년 동안 대전지역의 아파트 전세가격은 13.57% 상승했다. 지역 5개 자치구 중 서구가 16.92%로 가장 높고 유성구(14.60%)와 중구(13.33%), 동구(7.90%), 대덕구(6.75%) 순으로 뒤를 이었다.

 

대전 전셋값 상승률은 서울(17.89%)과 수도권(17.77%)에 비하면 낮지만, 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 등 6개 광역시 평균(12.09%)을 훌쩍 넘는 것은 물론 도시 규모가 더 큰 부산(9.85%)과 대구(11.11%)보다도 큰 폭 차이를 보였다.

 

전세가격 급등에 따라 임차인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서구 탄방동 아파트에서 전세로 살고 있는 30대 신모씨는 "곧 전세기간 만료를 앞두고 있어 다른 전셋집을 알아보고 있는데 전세가격이 1-2년 만에 폭등해 같은 동네로의 이사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급하게 월셋집을 찾거나 조금 먼 동네로 이사하는 방안도 계획 중"이라고 토로했다.

 

여기에 금융권 대출 금리가 내리 상승세를 기록하면서 대출 절벽은 더 견고해지고 있다. 주요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는 2주 만에 0.3%포인트나 상승했다. 은행들이 대출금리 기준으로 삼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등 지표금리가 오르는 데다 금융당국의 잇딴 대출규제가 대출금리 인상 가속화를 이끈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17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2.961-4.52% 수준이다. 2.80-4.30%였던 이달 3일과 비교해 불과 2주 만에 하단과 상단이 각각 0.161%포인트, 0.22%포인트 높아졌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도 연 2.82-4.441%에서 3.17-4.67%로 뛰었다. 최저·최고금리가 각각 0.35%포인트, 0.229%포인트 올랐다.

 

다만 은행권의 금리 인상 폭은 지표금리 상승 폭보다 크게 웃돌고 있다. 실제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오름폭(0.2%포인트대)은 지표금리 상승 폭(0.07%포인트)보다 3배 높다. 정부가 촉구한 대출 가이드라인에 맞춰 은행들이 대출 총량을 관리한다는 명목 아래 가산금리를 인상하고 우대금리를 축소하면서 대출금리를 끌어올리고 있는 셈이다.

 

더욱이 청년층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는 점도 우려를 키우는 대목이다. 다른 연령대보다 비교적 자금 여력이 부족한 20·30대를 중심으로 가계대출 잔액이 급증할 경우 그만큼 대출 부실 위험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지난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만19-29세가 주택 임차에 쓴다고 밝힌 대출 잔액은 15조 4949억 원으로, 코로나19 창궐 이전인 2019년 12월보다 59.45% 증가했다. 20대의 대출 잔액 총액은 2019년 말 24조 7243억 원에서 올 6월 말 기준 33조 4166억 원으로 35.2% 늘었다. 주택 임차를 위한 대출 잔액의 비중이 1년 반 만에 크게 증가한 셈이다.

 

같은 기간 전 연령의 가계대출 잔액은 765조 6000억 원에서 879조 원으로 14.8% 증가했다. 20대 증가폭의 절반 수준이다. 민형배 의원은 "당국은 특별히 증가세가 큰 대출을 세분화해 관리해야 한다"며 "20대의 주택임차 용도 가계대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만큼 상환능력을 면밀히 검토했는지 용도대로 사용되고 있는지, 대출의 부실 가능성은 없는지 철저하게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민지 기자 zmz1215@daej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