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4·3 수형인 유해 발굴과 신원 확인을 위해서는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의 활동 재개와 과거사정리법 개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과거사사건(한국전쟁 전후 양민학살 사건) 유해 발굴과 유전자 정보를 통합 관리해 왔던 제2기 진실화해위는 지난 5월 26일 조사활동을 종료했다.
20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제주4·3 당시 전국 15개 형무소에 수감된 4·3수형인은 2530명이다.
군법회의에서 384명은 사형을 당했고, 310명은 옥중에서 사망했다. 이어 한국전쟁이 반발하면서 행방불명된 수형인은 1763명에 이른다.
행방불명 수형인 대다수는 ▲광주교도소 옛터(광주형무소) ▲경산 코발트광산(대구형무소) ▲산내 골령골(대전형무소) ▲황방산(전주형무소) ▲돌고개(김천형무소) 등에서 집단학살 돼 암매장됐다.
현재 세종 추모의 집에는 제주4·3 행방불명 수형인 등 한국전행 전후 민간인 희생자 4500여 구의 유해가 안치됐으며, 향후 대전 골령골에 조성될 추모공원으로 옮겨질 예정이다.
오영훈 지사는 지난 18일 허상수 진실화해위 비상임위원과 면담을 갖고 제3기 진실화해위 출범에 이어 유해발굴과 신원조사 업무가 명시된 과거사정리 기본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오 지사는 “4·3 수형인뿐만 아니라 나라를 구하기 위해 자진 입대했다가 한국전쟁에서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한 제주 출신 실종자들의 유해발굴에 정부의 적극적 행보가 필요하다”며 “이를 시행할 3기 진실화해위 출범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라고 강조했다.
허상수 비상임위원은 “2007년부터 발굴된 과거사사건 희생자 등 약 4500구의 유해가 현재 세종 추모의 집에 임시 안치된 상태로, 이들 중 제주 출신 희생자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유해발굴 범국민위원회와 같은 조직을 구성해 제주도뿐만 아니라 전국의 한국전쟁 피해 유족들도 함께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제주도와 4·3평화재단은 2023년 10월 대전 골령골에서 4·3당시 행방불명된 고(故) 김한홍씨(1923년생)의 유골을 확인했다. 이는 1000여 구의 수습된 유골 중 200여 구를 선별해 유전자 대조 감식을 벌인 결과였다.
또한 지난해 10월에는 광주형무소 옛터에서 4·3행방불명 희생자인 고(故) 양천종씨(1898년생) 유해를 찾아냈다.
앞서 2기 진실화해위는 해당 지역에서 학살된 양민 유해를 발굴하고 자자체의 지원으로 유전자 감식을 진행해왔다.
한편, 4·3당시 수형인이 복역한 형무소와 옥사는 ▲목포(복역 399명·옥사 49명) ▲대전(복역 254명·옥사 13명) ▲대구(복역 198명·옥사 19명) ▲광주(복역 70명·옥사 13명) ▲부산(복역 58명·옥사 40명) ▲마산(복역 6명·옥사 45명) ▲김천(복역 25명·옥사 5명) ▲전주(복역 7명·옥사 6명) ▲기타(복역 746명·옥사 120명) 등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