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민의 민의의 전당인 경기도의회가 28일 경찰에게 압수수색을 당했다.
현직 경기도의원들이 사업자로부터 뇌물을 챙긴 혐의를 받아 자택은 물론 의회 사무실까지 강제수사 대상에 포함된 것이다. 경기도의회의 광교신청사 시대 이후, 뇌물수수 혐의로 도의회가 경찰에 압수수색을 당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이번 현직 지방의원 4명이 수사 대상에 올라 지역 정치권에 충격을 주고 있다.
28일 안산상록경찰서 등에 따르면 경찰은 뇌물수수 혐의로 현직 도의원 4명과 전직 화성시의원 1명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였다. 이날 압수수색에는 48명의 수사관이 투입됐고, 관련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안산시 지능형교통체계(ITS) 구축 사업 과정에서 A씨가 운영하는 사업체에 특조금을 지원하고, 수천만원 상당의 금품과 향응을 제공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앞서 A씨는 안산시 지능형교통체계(ITS) 구축 사업 과정에서 안산시 공무원에게 편의를 제공받고 그 대가로 뇌물을 건넨 혐의로 구속, 검찰에 넘겨진 상태다.
수사기관이 도의회를 대상으로 압수수색에 나선 이례적 상황에 도의회 내부도 뒤숭숭한 분위기다.
수원지검은 지난 2023년 2월 쌍방울 그룹의 대북송금 의혹을 수사하며 도의회 기획재정·농정해양위원회 등을 압수수색한 바 있다. 다만 당시에는 대북사업 관련 자료 보유 여부를 확인하는 차원의 수사였다.
하지만 이번에 경찰이 비리 혐의로 도의회를 압수수색하자, 이에 대한 파장이 어디까지 미칠지 도의회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해당 의원들은 현재 혐의를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번 경찰의 강제수사에 최근 도의회가 중점적으로 추진하던 청렴도 향상 노력에 찬물을 끼얹은 셈이 됐다.
도의회는 불과 2주 전 청렴한 의회 문화 정착을 위한 ‘청렴서약식’을 진행했지만, 이같은 조치가 무색해졌다는 지적이다.
당시 청렴 서약서에는 법규 준수, 부패 방지, 부당 이익 추구 금지, 권한 남용 및 이권 개입 금지, 금품·향응 수수 금지 등의 내용이 담겼으며 도의원 156명 전원이 서명한 바 있다. 도의회 관계자는 “아직 혐의만을 받고 있는 상황이어서 예단하기 쉽지 않다”면서도 “압수수색을 당한 것만으로도 도의회 명예가 훼손됐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