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개 기초시와 3개 기초시 선호도를 놓고 진행한 도민 여론조사 결과가 2일 오전 10시에 발표된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의장 이상봉)는 행정체제 개편 도민 인식조사 결과를 이날 공개한다고 1일 밝혔다.
여론조사는 지난달 21~26일 6일간 18세 이상 제주도민 1500명을 대상으로 리얼미터가 진행했다.
모바일 웹조사(80%)와 함께 스마트폰으로 답변하기 어려운 고령층을 위해 전화 설문조사(20%)가 병행됐다.
행정구역 개편안에 대한 질의는 ▲3개 구역(동제주시·서제주시·서귀포시) ▲2개 구역(제주시·서귀포시) ▲기초단체 설치 반대 ▲잘 모르겠다 4개 문항으로 구성됐다.
향후 추진 방향에 대한 질의는 ▲2026년 7월 목표로 신속한 이행 ▲상황 변화를 고려한 이후 진행을 놓고 도민 여론을 물었다.
의회에 따르면 도민 유효 응답자(표본)는 1500명으로 지난달 26일 여론조사에 이어 분석과 검토 결과가 끝남에 따라 2일 설문지 원본과 응답률 등 결과를 공개를 한다.
일부 의원들의 비판에도 여론조사를 실시한 이상봉 의장은 “국회 입법 과정이나 정부의 대응을 볼 때 내년 6월 선거에서 기초단체 도입은 물리적으로 시간이 부족하다”며 “그래서 이번에 공개하는 여론조사 결과는 내년이 아닌 차기 도정에서 차분히 검토하고, 중장기 과제로 반영할 참고자료가 돼야한다”고 말했다.
이 의장은 “이번 조사 결과를 참고해 숙의 과정을 거치면 제주에 맞는 기초단체와 행정구역 수를 정할 수 있고, 국회 입법과정에서도 순조롭게 반영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오는 4일 기자 간담회에서 제주형 기초단체 추진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오 지사는 당초 행안부 장관의 주민투표 권고(8월 말)→도민·도의회 의견청취(30일·9월 말)→주민투표 실시 통지(7일)·주민투표 발의(7일) 등 최소 법정준비 기간(60일)을 거쳐 11월 중에 주민투표를 실시하기로 했다.
그런데 행안부에서는 2개 또는 3개 기초시에 논쟁 속에 ‘단일화 안’ 제출을 요구하면서 주민투표 일정은 예상한 계획에서 더욱 늦춰졌다.
한편, 일부 도의원들은 내년 6월 3일 9회 지방선거가 아닌 2027년 재보궐 선거 또는 2028년 4월 12일 국회의원 선거에서 기초시장과 기초의원 선출을 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기초시 출범을 2030년 10회 지방선거로 늦출 경우 행정체제 개편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서다.
그런데 2027년 재보궐 또는 2028년 총선에서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을 뽑을 경우 임기가 2~3년으로 단축되는 임기 4년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와 함께 선거 일정 조정은 국회 입법 또는 법 개정 사안이라서 실현 가능성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