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시 총 인구가 개청 이래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행복도시 착공 당시 정부가 내건 2030년 인구 80만 목표의 절반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에서 하락 반전한 것으로 행정수도 완성에 균열이 우려되는 대목이다.
인구 수가 도시계획과 달리 답보 상태에 놓인 배경에는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태동한 세종시를 바라보는 그간 정부의 미온적 태도를 첫 번째로 꼽을 수 있다. 최근 들어서는 해수부 부산이전 사태로 행정수도의 근간을 흔든 뒤, 추가적 대책이 미비한 게 현실이다. 때문에 주택 공급에 의존했던 인구유입 체계의 틀을 벗고 '행정수도'의 취지를 살릴 범국가적 유인책이 요구된다.
21일 세종시의 '월별 인구현황' 통계에 따르면 세종시의 올 6월 기준 총 인구수는 39만 8640명을 찍은 뒤 7월 39만 8608명, 8월 39만 8430명으로 2개월 연속 감소세다.
2012년 7월 시 출범 후 13년간 인구가 지속 오름세를 보였지만, 지난 7월 들어 첫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
세종시 관계자는 "최근 공동주택 입주가 없었다"며 "동지역 신도심은 소폭 올랐지만 읍면지역 감소가 커 전체 인구가 줄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통계청의 '7월 인구이동 통계'를 봐도 세종시의 총 전입인구는 4999명, 전출은 5185명으로 186명이 순유출됐다. 공동주택 입주가 없는 상황을 가정해도, 세종을 떠나는 인구가 더욱 많다.
세종시 인구 감소의 내부적 요인은 △높은 주택 가격 △물가 부담 △민간 일자리 부족 △교육 및 생활·문화 인프라 미흡 등이 꼽힌다. 허허벌판에서 일군 행정중심복합도시다. 비약적 성장을 보이지만 내부적으론 상가공실, 각종 인프라 부족의 홍역을 앓고 있다.
세종 주부들 사이에선 "아이 옷 한 벌을 사려면 인근 청주와 대전을 오가야 한다"는 볼멘소리가 넘친다. 2010년 첫마을 아파트 평균 분양가격이 3.3㎡당 639만 원에서 최근 분양 마친 합강동이 1790만 원으로 '3배' 급등한 점도 진입 장벽을 높였다. 그럼에도 '평당 2000만 원' 시대가 예고된다.
세종시는 향후 예정된 공동주택 입주물량에 기대를 거는 눈치지만, 최종 인구를 채울 셈법과도 어긋난다. 세종 공동주택 입주 물량은 2030년까지 20만 가구가 예정됐는데, 현재 공급된 13만 5000호를 제외하면 남은 물량은 6만 5000가구 뿐이다.
결국 세종시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등 관계기관이 정주여건을 살릴 강도 높은 자구책을 펼침과 동시에, 행정수도를 향한 정부 차원의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미이전 공공기관에 대한 후속조치를 비롯해, 수도권 공공기관을 맞이할 지원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것.
해수부를 반긴 부산시의 경우 아파트 조성 원가 우선공급, 이주정착금, 자녀 장학금, 양육지원금 추가 지급 등의 파격적인 선물 보따리를 펼쳤다. 다만 재정 여건이 열악한 세종시 입장에선 이 같은 선물은 역부족으로 받아들여진다.
전문가들은 국가 차원의 '웰컴 투 세종' 전략을 제시한다.
최성은 세종평생교육·정책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세종시 인구감소는 국가의 경종을 울린 것"이라며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출발한 세종시는 국가차원의 도시인만큼, 본래적 정당성을 채우기 위해서는 국가적 재정 투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집무실 등에 집중포화 됐지만, 이제는 도시 성숙기를 맞아 인구를 늘릴 디테일이 필요한 시기"라며 "사회적 구조 내에 갇혀 충청 지자체간 불필요한 경쟁을 하지 말고, 청년들이 수도권이 아닌 세종에서 뛰어 놀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웰컴 투 세종'을 만들기 위해 정부의 지원과 충청의 연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