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하진 도지사는 5일 “통큰 행정구역 개편과 전주와 새만금을 중심으로 한 메가시티 구축이 전북의 미래를 결정짓는 초석이 될 것”이라면서 전북 광역도시 추진 방침을 밝혔다.
송 지사는 이날 ‘신년기자회견’을 통해 전주·완주 통합을 넘어선 ‘전북 광역화 작업’에 본격 착수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하면서 전북광역화와 서해안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새만금에 전북도청 제2청사 설치를 가시화하겠다는 입장도 밝혀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새만금에 도청 2청사(또는 출장소)를 추진하겠다는 방침은 첫 공식화 된 것으로 향후 새만금 발전을 크게 앞당기고, 전북 광역화에 매우 중대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송 지사의 이번 언급은 초광역 지방자치시대에 대응하기 위한‘전북지역 행정구역 대개편’에 착수하겠다는 의지를 공식 피력한 것이어서 향후 전주와 새만금을 잇는‘전북형 메가시티’의 완성에 도정을 집중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송 지사는 이날 “단순히 전주완주 통합뿐만이 아닌 플러스 알파(α)까지 고려하는 통합이 이뤄질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면서 “전북에서 광역도시에 준하는 중심도시를 빠르게 만들려면 지금까지 논의돼 왔던 단순한 통합의 논리를 벗어나 영역을 확대해 인구를 조금 더 보태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고 강조했다.
송 지사는 특히 새만금에 도청 제2청사를 설치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도청의 일부 기능을 새만금권으로 분산해서 설치하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했다.
그는 “전북도가 향후 지역의 미래 거점을 새만금으로 잡고 있는 상황에서 장기적으로 검토해야 할 과제중 하나로 전북도청 이전도 고려할 수는 있지만, 아직은 이를 논하기엔 그 시기가 너무 빠르다”고 조심스런 입장을 보이면서도 “~도에서 출장소를 설치하든, 제2도청사를 설치하든 그 지역에 그 작업을 추진하고 미래를 발전시켜 나가는 최초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도청의 일부 기능이 새만금권으로 분산해서 설치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송 지사는 “행정구역 통합 대상은 전주완주 통합에만 국한하지 않고, 익산의 어느 부분이 될 수도 있다”면서“우리 전북 역시 광역시가 없는 서러움에서 벗어나, 광역시를 가진 지역으로서 빠르게 전진해갔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인구 2만5000명 이하 동부권역 군 단위 지자체의 경우 하나로 통합이 된다면 생활의 질 등 모든 면에서 불리할 것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발언의 배경에는 전국 광역지자체 중 유일하게 광역시를 배출하지 못한데다 통합에도 실패한 전북지역의 한계가 내포돼 있다.
한편 지역정가의 최대 화두였던 도백 3선 도전과 관련한 질문에 송 지사는 “코로나19로 도민들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상황에서 벌써부터 선거 출마 여부를 이야기하는 것은 염치가 없는 행위”라고 원론적 입장을 밝힌 뒤, 다만 코로나19사태가 어느 정도 안정화되면 출마의향을 직접 밝히겠다”고 언급, 사실상 이날‘3선 출마’를 선언했다.
“전북의 미래는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고 전제한 그는 “새로운 산업의 시대로 가고 있고 농생명산업, 친환경, 미래차산업, 신재생에너지산업, 세계잼버리, 새만금 국제공항 같은 SOC의 신속한 개발 등 엄청난 과제들이 전라북도 앞에 놓여있다”고 말해 자신이 스스로 이러한 과제를 마무리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그는 회견 말미 지사직은 개인적으로 꿈꾸거나 소망한다고 해서 그 자리가 그 사람이 꿈꾸는 자리를 만족시키는 자리는 아니라고 본다”고 말해 도백 후보가 난무하는 현실에 넌지시 견제구를 날렸다. 그는 이어 전북지사 자리만큼은 역사적 소명의식을 가지고 개인적 역량과 도덕적 적합성 등이 있는 것인지 등을 도민이 결정하는데 저는 이런 부분과 관련해서 몇 퍼센트나 접근해있는 사람인지 지금부터 고민해 (코로나가 소강 국면에 접어들면) 제 입장을 분명히 밝히겠다”며 도백 3선에 강한 의지를 보였다.
김윤정 기자
송 지사는 이날 ‘신년기자회견’을 통해 전주·완주 통합을 넘어선 ‘전북 광역화 작업’에 본격 착수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하면서 전북광역화와 서해안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새만금에 전북도청 제2청사 설치를 가시화하겠다는 입장도 밝혀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새만금에 도청 2청사(또는 출장소)를 추진하겠다는 방침은 첫 공식화 된 것으로 향후 새만금 발전을 크게 앞당기고, 전북 광역화에 매우 중대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송 지사의 이번 언급은 초광역 지방자치시대에 대응하기 위한‘전북지역 행정구역 대개편’에 착수하겠다는 의지를 공식 피력한 것이어서 향후 전주와 새만금을 잇는‘전북형 메가시티’의 완성에 도정을 집중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송 지사는 이날 “단순히 전주완주 통합뿐만이 아닌 플러스 알파(α)까지 고려하는 통합이 이뤄질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면서 “전북에서 광역도시에 준하는 중심도시를 빠르게 만들려면 지금까지 논의돼 왔던 단순한 통합의 논리를 벗어나 영역을 확대해 인구를 조금 더 보태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고 강조했다.
송 지사는 특히 새만금에 도청 제2청사를 설치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도청의 일부 기능을 새만금권으로 분산해서 설치하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했다.
그는 “전북도가 향후 지역의 미래 거점을 새만금으로 잡고 있는 상황에서 장기적으로 검토해야 할 과제중 하나로 전북도청 이전도 고려할 수는 있지만, 아직은 이를 논하기엔 그 시기가 너무 빠르다”고 조심스런 입장을 보이면서도 “~도에서 출장소를 설치하든, 제2도청사를 설치하든 그 지역에 그 작업을 추진하고 미래를 발전시켜 나가는 최초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도청의 일부 기능이 새만금권으로 분산해서 설치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송 지사는 “행정구역 통합 대상은 전주완주 통합에만 국한하지 않고, 익산의 어느 부분이 될 수도 있다”면서“우리 전북 역시 광역시가 없는 서러움에서 벗어나, 광역시를 가진 지역으로서 빠르게 전진해갔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인구 2만5000명 이하 동부권역 군 단위 지자체의 경우 하나로 통합이 된다면 생활의 질 등 모든 면에서 불리할 것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발언의 배경에는 전국 광역지자체 중 유일하게 광역시를 배출하지 못한데다 통합에도 실패한 전북지역의 한계가 내포돼 있다.
한편 지역정가의 최대 화두였던 도백 3선 도전과 관련한 질문에 송 지사는 “코로나19로 도민들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상황에서 벌써부터 선거 출마 여부를 이야기하는 것은 염치가 없는 행위”라고 원론적 입장을 밝힌 뒤, 다만 코로나19사태가 어느 정도 안정화되면 출마의향을 직접 밝히겠다”고 언급, 사실상 이날‘3선 출마’를 선언했다.
“전북의 미래는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고 전제한 그는 “새로운 산업의 시대로 가고 있고 농생명산업, 친환경, 미래차산업, 신재생에너지산업, 세계잼버리, 새만금 국제공항 같은 SOC의 신속한 개발 등 엄청난 과제들이 전라북도 앞에 놓여있다”고 말해 자신이 스스로 이러한 과제를 마무리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그는 회견 말미 지사직은 개인적으로 꿈꾸거나 소망한다고 해서 그 자리가 그 사람이 꿈꾸는 자리를 만족시키는 자리는 아니라고 본다”고 말해 도백 후보가 난무하는 현실에 넌지시 견제구를 날렸다. 그는 이어 전북지사 자리만큼은 역사적 소명의식을 가지고 개인적 역량과 도덕적 적합성 등이 있는 것인지 등을 도민이 결정하는데 저는 이런 부분과 관련해서 몇 퍼센트나 접근해있는 사람인지 지금부터 고민해 (코로나가 소강 국면에 접어들면) 제 입장을 분명히 밝히겠다”며 도백 3선에 강한 의지를 보였다.
김윤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