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강릉 23.7℃
  • 맑음서울 23.9℃
  • 맑음인천 20.9℃
  • 맑음원주 24.1℃
  • 맑음수원 23.0℃
  • 맑음청주 24.9℃
  • 맑음대전 24.0℃
  • 맑음포항 19.4℃
  • 맑음대구 24.4℃
  • 맑음전주 24.1℃
  • 맑음울산 20.0℃
  • 맑음창원 22.0℃
  • 맑음광주 25.2℃
  • 맑음부산 22.2℃
  • 맑음순천 23.3℃
  • 맑음홍성(예) 23.0℃
  • 맑음제주 20.5℃
  • 맑음김해시 23.7℃
  • 맑음구미 23.6℃
기상청 제공
메뉴

(부산일보) [대한민국의 미래, 부산엑스포] 한국의 선진국 도약, 2030엑스포 유치 ‘새 원동력’

 

 

 

한국이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도약하면서 2030 부산월드엑스포 유치에 또 다른 원동력이 생겼다. 특히 ‘기후변화’라는 엑스포 주제를 선점하는 데 있어, 개발도상국이었던 국가가 선진국으로 성장하면서 축적된 경험이 값진 경쟁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UNCTAD는 지난 2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본부에서 열린 제68차 무역개발이사회에서 한국의 지위를 아시아·아프리카 등 개도국이 포함된 그룹 A에서 선진국 그룹 B로 변경하는 안건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1964년 UNCTAD 설립 이후 이후 개도국이 선진국으로 도약한 것은 한국이 처음이다.

 

개도국→선진국 경험 ‘경쟁력’

‘기후변화’ 주제 담기에 최적지

BIE도 “상당한 의미” 긍정 평가

역대 개최국들도 대부분 선진국



 

2030 월드엑스포 입지 선정을 앞두고 국제사회가 한국을 선진국으로 새로 분류한 사실은 부산의 엑스포 유치에 큰 힘이 될 전망이다. 먼저 투표권을 갖고 있는 국제박람회기구(BIE) 회원국들이 바라보는 한국의 국격이 한층 높아지게 된다. BIE 사무국 역시 ‘한강의 기적’을 일궈 내며 수십 년 만에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성장한 한국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지난달 23일 드미트리 케르켄테즈 BIE 사무총장은 박형준 부산시장 등과 만난 자리에서 “개도국을 거쳐 선진국에 진입한 국가가 기후변화라는 주제로 엑스포를 개최하려 한다는 사실은 상당한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2030 부산월드엑스포의 주제는 ‘세계의 대전환, 더 나은 미래를 향한 항해’이다. 전 세계가 직면한 지상 과제인 기후변화를 어떠한 신기술과 가치로 맞이할 것인지를 심도 있게 논의해 보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지금껏 기후변화라는 아이템을 엑스포 주제로 정한 국가는 없었다.

 

부산시 박근록 2030엑스포추진단장은 “중국 상하이 등 기후변화에 주체적으로 대응하지 않는 개도국에서 기후변화를 주제로 내밀었다면 BIE로부터 호응을 얻지 못했을 것”이라며 “기후변화를 바라보는 개도국과 선진국의 관점을 모두 담을 수 있는 한국과 부산은 엑스포의 최적지”라고 설명했다.

 

2030 부산월드엑스포 유치는 개도국이 선진국으로 성장해 나가는 상징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 1993년 대전엑스포는 한국이 아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도 가입하기 전인 개도국의 입장에서 치러낸 인정엑스포였다. 2012년 여수엑스포는 개도국과 선진국의 과도기에서 열린 행사다.

 

대전, 여수를 발판으로 부산이 2030년 세계 3대 이벤트인 월드엑스포를 유치한다면 명실상부 선진국 반열에서 엑스포의 가치를 전 세계에 퍼뜨릴 수 있다. 이는 아직 엑스포 등 세계적인 행사를 치러내지 못한 아시아, 아프리카 등 개도국 입장에서 벤치마킹할 선진 사례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역대 월드엑스포 개최 국가가 대부분 선진국이라는 점도 유치 경쟁력을 더하는 요소다. 1928년 BIE가 설립된 이후 등록엑스포는 미국, 일본, 독일, 캐나다, 이탈리아, 벨기에 등 주로 경제력과 안정된 사회 기반을 갖춘 국가에서 열렸다. UNCTAD 기준으로 선진국이 아닌 국가에서 열렸거나 열릴 엑스포는 아이티, 중국, 아랍에미리트밖에 없다.

 

2030부산월드엑스포 범시민유치위원회 오성근 집행위원장은 “월드엑스포는 우리 경험을 세계와 공유하는 이벤트이기 때문에 선진국 지위는 큰 원동력이 된다”며 “미래 발전을 위한 엑스포라는 점을 회원국들에게 어필하도록 민관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