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고령군 대가야박물관은 국립춘천박물관과 함께 2월 21일까지 박물관 내 기획전시실에서 '대가야 사람들의 향수' 공동기획 특별전을 개최한다.
이번 공동기획전은 1992년 강원도 동해시 추암동유적에서 대가야토기가 출토되면서 마련됐다. 가야인들이 멸망한 이후 강원도로 이주해 정착한 흔적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추암동유적은 신라무덤이 대부분인데, 몇몇 무덤에서 '굽다리긴목항아리'와 '뚜껑있는 짧은목항아리' 등 20여 점의 대가야토기가 출토돼 주목받고 있다.
대가야토기와 함께 묻힌 사람들은 대가야 출신이며, 대가야가 멸망한 이후 신라에 의해 강제 이주된 것으로 학계는 보고 있다.
정동락 대가야박물관장은 "가야사 연구는 시간적으로는 기원전후한 시기부터 대가야가 멸망하는 562년까지이지만, 이번 전시의 주제인 동해 추암동유적은 대가야 멸망 이후 조성됐고, 강원도라는 낯선 곳에서 확인된 대가야 사람들의 흔적이라고 할 수 있다"고 했다.
이번 전시는 추암동유적에서 출토된 대가야토기와 토기의 출처, 무덤의 구조와 그 유물과 함께 묻힌 대가야 사람들이 고향을 떠나 멀리 동해까지 온 이유, 고대의 강제 이주와 관련한 기록 등을 소개한다.

이채수 기자 cslee@i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