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강릉 1.3℃
  • 서울 3.2℃
  • 인천 2.1℃
  • 흐림원주 3.7℃
  • 흐림수원 3.7℃
  • 청주 3.0℃
  • 대전 3.3℃
  • 포항 7.8℃
  • 대구 6.8℃
  • 전주 6.9℃
  • 울산 6.6℃
  • 창원 7.8℃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순천 6.7℃
  • 홍성(예) 3.6℃
  • 흐림제주 10.7℃
  • 흐림김해시 7.1℃
  • 흐림구미 5.8℃
기상청 제공
메뉴

(경남신문) 올 한해 경남지역 학폭피해 3979명이 당했다

도내 초중고 24만634명 대상 조사
전국 피해응답율 1.9%보다 낮은 1.7%

올 한해 경남지역 학교폭력 피해 학생이 3979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남도교육청은 지난 4월10일부터 5월 10일까지 도내 초등학교 4학년~고등학교 3학년까지 1002개학교 24만634명(참여율 86.9%)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 결과, 경남에서 학교폭력 피해를 당했다는 학생은 초등학교 2787명, 중학교 945명, 고등학교 236명으로 모두 3979명이었다.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은 2022년(1차)과 같은 1.7%로 나타났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3.5%, 중학교 1.1%, 고등학교 0.1%로 2022년 1차 조사와 비교해 초등학교 0.3%p 감소, 중학교 0.2%p, 고등학교 0.1%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교육청은 지난해와 비교해 중․고학생의 피해 응답률이 상승한 것은 학교 수업이 정상화됨에 따라 신체적․언어적 폭력, 학교폭력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피해 유형별로는 전체 피해 응답자 3979명 중 언어 폭력이 37.0%로 가장 높았고, 신체 폭력(17.0%), 집단 따돌림(15.0%), 강제 심부름(8.1%), 사이버 괴롭힘(6.4%), 성폭력(5.8%), 스토킹(5.6%), 금품 갈취(5.2%) 순서로 나타났다.

 

피해 경험 장소로는 교실 안(30.9%), 복도(18%), 운동장 등(10.3%), 공원 등(6.9%), 사이버공간(6%)의 순으로 응답했다.

 

피해 경험 시간은 쉬는 시간(33.7%), 점심시간(22%), 학교 일과 이후(12.6%), 수업 시간(10.4%), 하교 시간(9.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피해 후 그 사실을 주위에 알리거나 신고한 대상은 학교 선생님(36.6%), 가족(35.9%), 친구나 선후배(14.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가해 응답률은 1.0%로 2022년 1차(0.7%)와 비교해 0.3%p 증가했다. 학교급별 가해 응답률은 초등학교 2.2%, 중학교 0.6%, 고등학교 0.1%이며 전년 대비 초등학교 0.57%p, 중학교는 0.25%p, 고등학교 0.07% 증가했다.

 

가해이유는 장난이나 특별한 이유없이(35.7%), 피해학생이 먼저 나를 괴롭혀서(25.4

 

%), 피해학생과 오해와 의견이 달라서(12.4%), 피해학생의 행동이 맘에 안들어서(8.4%), 화풀이 또는 스트레스 때문에(8.0%) 순이었다.

 

학교폭력을 목격한 학생의 응답률은 4.4%로 지난해와 비교해 0.33%p 증가했다. 학교폭력 목격 후 주위에 알리거나 도와주었다는 68.5%, 앞으로 학교폭력 목격 시 주위에 알리겠다는 66.4%, 도움을 요청하거나 도와주겠다는 28.3%로 대부분 적극적인 도움을 주겠다고 응답했다.

 

이번 실태조사 결과 피해 응답률은 지난해와 같은 1.7%로 전국 1.9%에 비교해 0.2% 낮다.

 

경남교육청은 피해 응답 결과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본청, 교육지원청, 단위 학교 등 주체별, 학교급별로 맞춤형 대책을 수립하여 시행할 예정이다.

 

특히 학교폭력 유형 중 언어 폭력, 사이버 폭력의 비중이 높아져 ‘언어습관자기진단’ 앱(App), ‘학생언어문화개선’ 누리집 등에서 언어 사용 습관을 진단하고 올바른 언어문화를 실천하도록 학교 현장에 안내하고 있다.

 

한편 올해 학교 폭력을 당했다고 응답한 전국 피해학생은 5만9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학폭실태조사를 시작한 201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