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서 경기 남양주 마석을 연결하는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B 본선이 착공 수순에 돌입한 가운데 춘천까지의 연장도 정부 결단 만을 남겨두고 있다.
특히 국토교통부의 타당성 검증 용역 중간보고에서 경제성(B/C)이 1.0을 육박하는 것으로 나와 국가계획 반영 및 재정사업 추진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강원특별자치도 등에 따르면 국토부와 국가철도공단 등은 최근 GTX-B 춘천 연장 타당성 검증 용역 중간보고를 진행했으며 경제성 분석 결과 B/C(비용대비편익)가 0.96으로 측정됐다. 통상 B/C가 0.5를 넘을 경우 사업 추진의 타당성이 있고 1.0을 넘으면 경제성까지 높다는 의미를 지닌다.
이에 강원자치도와 춘천시는 최적의 운행횟수 조정 등을 통해 B/C를 1.0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워두고 있다. 최종 목표는 연말 제5차 국가철도망 계획 반영을 통해 재정사업으로 춘천 연장을 실현하는 시나리오다. GTX-B를 비롯해 수도권광역급행철도의 확대는 조만간 발표될 국정과제 채택이 확실시된다.
하지만 국정과제 채택과는 별도로 연말 국가철도망 계획에 반드시 반영시켜야 한다. 국가계획 반영 시에는 전액 국비를 통한 재정사업으로 진행할 수 있다.
국가철도망 계획 미반영시엔 춘천시와 가평군이 사업비 분담하는 원인자 부담 방식으로 추진해야 한다. 운행횟수에 따라 수백억원에서 최대 1,000억에 가까운 출혈이 불가피하다.
도와 춘천시 입장에서는 올 가을께 완료될 예정인 타당성 검증 용역에서 경제성을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 급선무다.
인천 송도국제도시(인천대입구역)부터 여의도, 용산, 서울역, 청량리, 경기 남양주 마석까지 총 82.8㎞를 연결하는 GTX-B 본선은 최근 사업시행사가 국토부에 통합착공계를 제출하며 공식적으로 공사를 시작했다. 2030년 개통 예정으로 춘천 연장 역시 본선과의 동시 개통이 목표다.
강원자치도 관계자는 “원인자 부담 시 재정부담이 큰 만큼 지방비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사업이 확정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