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 에코시티 기무사 부지가 8년째 방치되면서 개발 방향성에 대한 도민들의 의구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북교육청 이전이 논의됐으나, 현재 답보상태이다. 에코시티 상권 활성화를 위한 개발 필요의 목소리가 높다.
28일 전주시 등에 따르면 에코시티 중심에 위치한 기무사 부지 3만8000㎡(8324평)가 2018년 기무사가 철수한 이후 8년간 부지 용도를 정하지 못하고 방치돼 있다.
과거 전주시는 해당 부지를 활용하기 위해 국방부에 무상제공을 요청했다. 그러나 국방부의 매각 방침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또 지난 2020년에는 일부 주민들이 옛 기무부대 부지의 소유권을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해 부지 사용에 대한 논의가 중단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는 국방부가 승소해 소유권 논란은 잦아든 것으로 파악됐다.
문제는 상승한 땅값이다. 부지 사용 논의 초기 당시 부지의 공시지가는 약 40억대로 알려졌다. 그러나 에코시티 개발 등으로 부지의 가격이 상승했고, 현재는 매입 시 공시지가 기준 약 400억원의 비용이 필요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부지는 공공부지로 민간시설 개발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전주시의 설명이다.
전주시와 정치권은 전북교육청의 이전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비용 등의 문제로 현재 답보상태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과거 정동영 국회의원의 공약으로 전북교육청 이전이 거론되면서 교육청 이전과 주민시설 등을 건설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었다”면서도 “현재 전북교육청에 결정권자가 없어 추진동력이 조금 떨어졌다. 현재는 답보상태이다. 한 번 더 추가 계획을 검토해 보겠다”고 설명했다.
정동영 장관 측 관계자는 “현재 기무사 부지와 관련해서는 국방부측과 논의가 더 필요한 부분이고 계속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면서도 “교육청 이전을 위해서는 교육청측의 의지가 필요한 부분이 있다. 현재로써는 교육감 선거에 촉각을 세우고 있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이전비에 대한 문제도 나온다. 전북교육청이 가지고 있던 기금이 세수부족으로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해당 기금은 이전 시 건설비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시설환경개선기금 등 2개의 기금이 2022년 말 당시에는 1조원 넘게 남아있었지만, 세수부족 등의 문제로 이번 달 기준으로는 3100억원 가량만 남아있는 상황이다”며 “현재는 전북교육청 이전에 대해서는 따로 이야기가 나오지 않은 상태이다”고 설명했다.
최근 에코시티는 이마트 휴업 등 상권 축소의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 상인과 주민들은 기무사 부지의 시급한 개발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인근 상인 A씨는 “기무사 부지를 개발해 유동인구를 늘려야 에코시티의 상권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며 “논의가 진행된 지 수년이 지났는데 아직도 에코시티 정중앙이 담벼락으로 막혀 있다”고 토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