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서 연기자의 길을 걸으며 영화 출연 기회를 얻는 건 여간 버거운 일이 아니다. 충무로로 상징되는 서울에서 멀수록 오디션도 멀기만 한 현실이다. 단역으로 출연하는 것조차 그렇다. 제대로 된 캐스팅 정보를 제때 얻기 힘든 데다가 담당자를 만날 기회는 더더욱 찾기 어렵다고 한다. 배우만 그런 게 아니라 영화제작 현장에 필요한 스태프들도 마찬가지다. 이런 현실을 개선하려는 수단으로 영상이 주목받고 있다. 요란하진 않아도 의미가 적지도 않은 ‘움직임’이다. ∎부산영상위 ‘셀프테이프’ 제작 지원 부산영상위원회(이하 영상위)는 최근 부산지역 배우들의 연기 모습을 담은 셀프테이프(self-tape) 영상을 공개했다. 각자 개성을 살린 배우들의 자유연기 영상은 자신들이 직접 영화 캐스팅 담당자나 제작팀에 제출하는 포트폴리오로 활용될 수 있게 실용성과 완성도를 갖췄다. 영상을 촬영한 이들은 지난해 영상위에서 시행한 ‘셀프테이프 콘테스트’에서 선발된 14명이다. 전체 지원자 35명 중 온라인 투표와 내부 심사를 거쳐 최종 확정된 이들로, 지역 극단 등에서 꾸준히 연기를 하며 스크린까지 활동 무대를 넓히려는 지망생들이기도 하다. 일종의 영상 프로필인 셀프테이프는 각각 1~4
출범 30주년 행사를 준비하는 부산국제영화제(BIFF)가 ‘조직 슬림화’를 표방하고 나섰지만, 실상은 프로그래머 인력을 충원하려다 규정 위반 등 인사 잡음에 휩싸여 채용을 중단한 사실이 드러났다. BIFF가 대외적으로는 혁신을 내세우고 있지만, 여전히 ‘주먹구구식 인사’로 내부 갈등을 빚는 등 조직 운영에 미숙함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내부 소통 의심받는 인사 잡음 BIFF는 2년 전 인사 문제로 큰 홍역을 치르며 혁신위원회를 통한 쇄신과 개혁을 다짐했다. 당시 사태의 원인을 밀실 행정과 인사 전횡 등 소통 없는 리더십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BIFF는 지난해 박광수 이사장 취임에 이어 올 3월 정한석 집행위원장이 임명되며 인사 공백을 딛고 2년 만에 새 진용을 갖췄다. 그 사이 전문성과 경험이 풍부한 핵심 프로그래머 2명이 영화제를 떠났다. 한국영화 프로그래밍을 전담하던 정한석 프로그래머가 집행위원장이 되면서 아홉 명이던 프로그래머가 여섯 명으로 줄게 됐다. BIFF는 이를 자연스러운 ‘조직 슬림화’ 계기로 삼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난달 29일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박광수 이사장은 “칸영화제 등 다른 국제영화제
죽어도 좋아(2002),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2014), 죽여주는 여자(2016), 소풍(2024)…. 인생 황혼기 삶을 비추며 우리나라 ‘실버 영화’의 맥을 이어 온 작품들이다. 극장 관객 수 기준 흥행과는 거리가 먼 작품이 대부분이지만, 100세 시대로 불리는 초고령사회를 진솔하게 조명한 수작으로 기록되고 있다. 2025년 봄, 또 하나의 실버 영화가 관객맞이에 나섰다. 영화의 배경은 다름 아닌 부산. 27일 전국 개봉하는 김시우 감독의 ‘부전시장’이 주인공이다. 영화는 국제시장과 함께 부산의 대표 전통시장인 부전시장의 콜라텍이 주요 배경으로 등장한다. 부전시장은 2000년대 초부터 주머니 가벼운 50~70대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음식점과 주점, 기원이 하나둘 들어서며 ‘실버 거리’로 자리를 잡은 곳이다. 발길이 잦아지면서 부전시장은 단순히 끼니를 때우거나 간단히 음주 욕구를 채우는 것을 넘어 황혼 세대의 유흥까지 책임지는 ‘실버 천국’으로 변모했다. 영화 ‘부전시장’은 황혼의 사랑방 구실을 톡톡히 하는 콜라텍을 배경으로 인생 후반기 불꽃을 태우는 이들의 희로애락을 담담히 들여다보게 만드는 작품이다. 옛것을 굳건히 부여잡은 채 골동품점을 운영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