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산은 내안에' 선·색으로 빚은 조형의 유토피아
강원도 울진 출생 지역 자연·문화에 애착 일본문화학원서 추상미술 접해 빠져들어 전업작가 전환 압축조형 추상회화의 절정 강렬한 색채의 잔상 추상 절창 맛보게 해 1970년대 후반부터 투병 속 창작열 빛나 화폭속 채색변화 온기·서정적 회화 도달 지난 봄, 울진에서 시작되어 삼척으로 번진 산불은 10일간의 사투로 마무리됐다. 울진 금강송 군락지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바탕으로 우리 모두가 산불로 피해를 입은 ‘산'과 ‘산(生) 사람들'에 대한 걱정과 우려로 애를 태웠다. 필자는 그 참상을 뉴스로 접하면서 추상적인 산 그림으로 일가를 이룬 화가 유영국(1916~2002년)을 떠올렸다. 만약 그가 살아있었다면, 울진 산불을 보는 그의 마음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비통했을 것이다. 여기에는 이유가 있다. ■평생 ‘강원도 울진' 태생으로 산 화가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이자 우리나라 1세대 모더니스트인 유영국은 일제강점기인 1916년 ‘강원도 울진'에서 태어났다. ‘경상북도 울진'이 아니라 ‘강원도 울진'이다. 1963년 울진군이 경상북도로 편입되는 바람에 현재는 행정구역상 강원도 소속이 아니지만 화가는 생을 마감하는 그날까지도 자신을 ‘강원도 울진 출생'이라고 소개했다.
- 편집=신현지기자
- 2022-06-17 0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