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해운대구 센텀2지구 사업을 추진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이던 방산업체 (주)풍산과 국방부 간의 협의가 사실상 끝났다. 전력 공백 우려가 해소된 만큼 사업지 그린벨트 해제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르면 이번 주에 결론이 날 수도 있다. 부산시는 23일께 풍산과 양해각서(MOU)에 서명하고 특혜 시비에 대한 공공기여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22일 부산시와 부산도시공사,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국방부는 지난 10일부터 진행한 풍산과의 공장 이전 협의를 마무리짓고 23일께 그 결과를 부산시와 풍산 측에 통보할 예정이다. 국방부와 풍산의 이전 협의는 센텀2지구 추진의 선결 과제다. 지난해 감사원이 전력 공백이 없어야 한다고 선을 그으면서 풍산의 대체 부지 확보가 관건이었다.
부산시와 풍산, 부산도시공사(시행자)도 이르면 23일 3자 간의 양해각서에 서명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지역사회에서 제기되는 특혜 지적에 대한 입장도 담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번에는 "공공기여에 적극 노력한다"는 원론적인 수준으로 밝히고, 구체적인 내용은 부산시와 풍산이 계속 협의해 가면서 다듬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방부 협의 과정에서도 막판까지 논란이 됐던 것이 '특혜 시비'였던 것으로 전해진다. 3개 이전 후보지에 대한 실무 차원의 검토는 일찌감치 끝났지만 특혜 시비에 대해 국방부의 고민이 깊었던 것이다. 지난해 감사원 지적은 '전력 공백'에 초점이 맞춰졌던 만큼 특혜 시비를 불식할 구체적인 공공기여 방안은 부산시와 풍산이 조율하는 쪽으로 정리된 것으로 전해진다.
그동안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풍산이 방위산업을 이유로 국가로부터 토지를 싸게 불하받았는데, 공장 이전으로 막대한 차익을 본다는 비판이 있었다. 부산도시공사 관계자는 "사업 부지는 평당 약 160만 원으로 추정되니, 풍산의 토지보상금은 5000억 원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며 "풍산은 각종 비용을 감안하면 오히려 손해라고 주장하는 만큼, 구체적인 공공기여 규모나 방식은 다시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귀띔했다.
국방부의 통보가 오면 부산시는 곧바로 국토교통부를 통해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 그린벨트 해제 건을 상정할 계획이다. 이르면 이번 주 후반 결론이 날 수도 있다. 센텀2지구 그린벨트 해제는 2016년 4월 산업단지 지정계획이 고시된 이래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서 4차례 심의가 유보됐다. 해운대구 반여·반송·석대동 195만㎡(59만 평)에 추진되는 센텀2지구 사업은 전체 대상지 92.8%(181만㎡)가 그린벨트이고, 52%(102만㎡·31만 평)가 풍산 터다. 부산시와 지역 정치권은 국방부 협의가 마무리됐고, 사업 필요성에 대한 지역사회의 공감대도 어느 정도 형성된 만큼 이번에는 그린벨트 해제가 이뤄질 것으로 자신한다. 다만 풍산 노조 설득, 공장 터 내 환경 오염, 풍산마이크로텍 노동자 등은 풀어야 할 숙제다. 부산시 고위 관계자는 "(그린벨트 해제를) 100% 낙관은 못하지만 그동안 여러 차례 보완이 됐기 때문에 잘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특혜 지적에 대해 풍산은 유보적 입장이다. 풍산 관계자는 19일 본보와의 통화에서 "아직 정확한 감정평가가 이뤄지지 않아 시민단체에서 주장하는 매매 차익에 대한 판단이 이르고, 특혜도 없다"며 "우리는 공장이 수용당하는 입장이고, 수용 이후 남는 28만 평의 땅도 큰 고민거리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센텀2지구 사업지가 지역구인 더불어민주당 윤준호(해운대을) 국회의원은 "부산의 새로운 심장을 만들기 위해 주체들이 각자의 이해관계를 넘어 큰 결단을 했다"고 평가했다.
센텀2지구에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융합부품 소재, 정보통신기술, 첨단신해양산업, 영상·콘텐츠 등의 시설이 입주한다. 부산시는 이 사업을 통해 8만 4000개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기대한다. 사업비는 1조 6413억 원이다.
김마선 기자 ms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