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경상국립대병원 앞 상가 약국들이 2020년 약사법 위반으로 문을 닫은 이후 5년간 약국 접근성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
오는 2027년 공공 어린이재활센터가 개소하면 불편을 겪는 환자가 더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24일 오후 2시 창원경상국립대병원 앞. 전립선이 좋지 않아 지난해 가을부터 매달 병원을 찾는 권윤호(남·70대)씨는 약국 위치에 대한 불편을 호소했다. 권씨는 “집에서 버스를 타고 창원대로에 내린다. 병원까지도 오르막길이라 힘든데, 약국은 더 위에 있다. 약국에 갔다가 다시 버스를 타러 내려가야 한다. 거리도 거리지만 산 같은 오르막이라 몸이 성치 않은 환자들에게는 고역이다”고 했다.

현재 창원경상국립대병원에서 가장 가까운 약국은 656m 떨어져 있다. 통상 병원 앞 상가에 약국이 위치한 다른 대학병원과는 다른 모양새다. 때문에 병원 내에는 ‘외부 약국 가는 법’을 안내하는 안내문이 비치돼 있고, 약국으로 향하는 길에는 약국 위치를 안내하는 표지판이 곳곳에 설치돼 있다.
창원경상국립대병원의 약국 접근성 문제는 지난 2020년 병원 앞 남천프라자 상가에 개점한 약국이 약사법 위반으로 운영을 중단하면서 불거졌다. 해당 상가는 병원 소유의 편의시설 건물인데, 이곳에 약국이 운영되는 건 약사법상 의약분업의 원칙에 위반된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기 때문이다.
이후 창원경상국립대병원과 지역사회는 창원시 등에 약국 접근성 문제 해결을 수차례 촉구해 왔다. 지난 2020년 병원 측이 4000여명의 병원 이용객의 서명을 받아 창원시에 전달하는 등 개선 목소리를 냈지만, 아직까지 큰 변화를 이끌어내지는 못했다.
더욱이 2027년 창원경상국립대병원에 공공 어린이재활센터가 개소하면 접근성 문제가 더 대두될 것으로 보인다.
병원 관계자는 “재활센터를 찾는 이용객 대부분이 장애 아동이나 부모”라며 “이들에게 경사진 약국까지 가기는 쉽지 않기에 그전에 해결 방안이 나와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현재로선 병원 뒤편 주택전용지구에 약국 설치가 가능하도록 토지 용도를 변경하는 것이 실질 대책으로 떠오른다. 창원상공회의소는 최근 이러한 내용을 담은 건의문을 창원시에 보내기도 했다.
창원상의는 “제1종 전용주거지역으로 지정된 병원 후문 주택단지의 허용 용도에 ‘1종 근린생활시설 가목-의약품, 의료기기’를 추가해야 의료 접근성 향상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창원시는 약국 접근성 문제와는 별도로 해당지역 지구단위 재정비를 검토 중이다. 이 과정에서 재정비가 결정된다면 주택가에 약국 설치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도시계획과 관계자는 “작년 초 진행된 창원 성산구 배후도시 지구단위 재정비의 후속 절차로 창원국립경상대병원 인근 성산지구를 포함한 지구의 재정비 검토를 진행 중”이라며 “내부 자문위원회 자문을 받고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절차에 따라 고시가 될 것이다. 다만 현재로선 재정비 여부는 정해진 게 없고, 재정비안에 약국 설치가 가능한지도 정해진 게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