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준공 40년이 넘은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봉암교에 균열이 발생해 긴급 보수에 들어갔다. 봉암교를 확장·정비하는 사업이 추진 중이지만 행정당국의 업무 미숙으로 5년째 지지부진이다.
봉암교는 1982년 9월 창원 시내에서 마산만으로 흘러드는 남천이 바다와 합류하는 하구 지점 바로 위에 설치됐다. 마산회원구 봉암동과 성산구 양곡동을 잇는 교량으로 길이 360m 양옆으로 접속도로가 길게 이어져 있으며, 폭은 왕복 4차로와 보도를 포함해 22.5m다.
봉암교는 창원국가산업단지 끝자락에 위치해 매일 출퇴근 차량 6만 대가량 통행하고 있다.
13일 창원시 등에 따르면 준공한 지 43년째 되는 봉암교의 교각 11개 중 양곡동에서 봉암동 방향 육지 쪽 첫 번째 교각에서 균열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다.
해당 교각 일부 지지대가 움푹 파이거나 1m 안팎의 금이 여러 군데 보인다. 지금은 바닥과 교각 사이 철근 구조물을 덧대어 하중을 더 잘 견딜 수 있도록 임시 조치한 상황이다.

이 같은 사실은 마산회원구청에서 지난 5월 정밀안전점검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밝혀졌다. 마산회원구청은 곧장 창원시에 긴급 예산 2~3억 원을 요구했고, 내달 본격적인 교각 보수공사를 시작할 계획이다.
현재도 봉암교의 안전 수준은 C등급이다. 현행법상 유지·관리를 하면서 시설물을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이다.
마산회원구청 관계자는 “예산이 확보되는 대로 최대한 신속하게 공사를 진행할 예정이며 공사 기간은 최소 두 달 정도 걸릴 것으로 보이지만 교각을 보수하는 것이라 차량 통행에 불편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봉암교에 내구연한이 따로 없어 지속적인 보수를 통해 앞으로도 계속 사용할 계획이라고 부언했다. 통상 일부 지자체에서는 교량 내구연한을 40~50년으로 본다.
창원시는 애초 작년에 봉암교 정비를 완료하고 확장까지 마칠 계획이었다. 다리를 지나는 교통량이 증가하면서 병목현상 등이 만연해 일대의 교통 정체가 창원시의 골칫거리였던 까닭이다.
창원시는 2017년 선정된 국가산업단지 재생사업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2020년 실시설계 용역에 착수해 봉암교 확장을 골자로 기존 교량과 맞붙여 4차로를 넓히려 했다.
이 사업은 작년 12월 완료를 목표로 추진됐지만 5년이 지난 지금까지 완공은커녕 착공조차 못 하고 있다.

창원시가 최초 사업비를 잘못 계산하는 바람에 각종 행정 절차에 발목이 잡힌 탓이다.
2016년 7월께 재생사업 공모 신청 당시 제출한 사업비는 국비 286억 원을 포함해 총 572억 원이었으나, 지금은 그보다 317억이 증가한 889억 원이다. 당장 국비만 350억 원 증액이 필요한 상황이다.
국비 지원액이 300억 원을 넘게 되면 타당성 재조사 대상이다. 기획재정부 의뢰로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봉암교 확장·정비 사업에 대한 타당성 검사를 벌이고 있다. 올해 내 결과가 도출되면 그 이후 창원시가 확정된 사업비를 가지고 재차 관련 행정 절차를 밟아 나가야 한다.
이 같은 행정 오류에 대해 창원시 관련 부서는 10여 전 사업 담당자들의 미숙한 처리 탓이라고 해명했다.
창원시 관계자는 “당시 사업을 담당하시던 분들이 해상교량을 육상교량 기준으로 공사비를 측정했고, 필수로 들어가야 할 가교 설치 내용도 빼먹은 것으로 안다”며 “해상교량 업무를 처리해 본 공무원이 없어 계략 사업비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빠뜨린 부분이 있었다”고 털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