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현 외교부 장관은 10일(현지시간) 미국 이민 당국에 구금된 한국인 300여명이 11일 귀국하는 동시에 향후 미국 재입국 시 불이익을 받지 않는 것으로 미국 측의 확약을 받았다고 밝혔다.
또 구금된 한국인 중에서 1명만 잔류를 희망했고 나머지(316명)는 모두 귀국을 원했으며 전세기는 11일 낮 12시(현지시간) 출발할 예정이다.
조 장관은 이날 주미대사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오늘 오전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을 만난 데 이어 오후에는 앤디 베이커 백악관 국가안보부보좌관을 만나 루비오 장관과 합의했던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이어 “지금 억류 상태인 우리 국민이 내일은 비행기(전세기)를 타고 귀국할 수 있고, 그런 과정에서 일체 수갑을 채우는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조 장관은 특히 “이분들이 다시 미국에 와서 일을 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게 하겠다는 것도 확약받았다”며 이번 사태로 구금됐던 한국인들이 향후 미 입국 시 불이익을 받지 않는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또 루비오 장관과의 면담에서 한국 전문인력의 미 입국 문제와 관련해 새로운 비자 형태를 만들자는 것과 관련해 “국무부와 외교부 간 워킹그룹을 만들어 새 비자를 만드는 데 신속히 협의해 나간다는 것까지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 말했다.
지난 8일 밤 미국에 도착한 조 장관은 “정말 무거운 마음으로 왔다”며 “미국에 어떻게 우리의 불만, 우리 국민의 분노를 전달할 것인가를 매우 크게 고민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아울러 미 이민 당국의 한국인 대거 체포 및 구금의 원인에 대해선 “여러 음모론 같은 얘기도 나오고 있지만, 시간이 좀 지나고 잘 분석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밝혔다.
한편 구금 한국인들의 귀국 절차가 늦어지게 된 것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들의 귀국 대신 미국에 계속 남을 것을 권했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에서 구금된 한국인이 애초 이날 출발하려다 돌연 연기된 데 대해 ‘미국측 사정’이라고 밝힌 데 대해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오늘 오전 조 장관이 루비오 장관을 만나서 이야기를 들어보니 미국 측 사정이라는 게 트럼프 대통령이 ‘구금된 한국 국민이 모두 숙련된 인력이니 한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미국에 남아 미국 인력을 훈련 시키는 방안과, 아니면 귀국하는 방안에 대해 한국의 입장을 알기 위해 귀국 절차를 일단 중단하라 지시했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조 장관은 우리 국민이 대단히 놀라고 지친 상태여서 먼저 귀국했다가 다시 와서 일하는 게 좋겠다고 얘기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