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원주 25.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포항 22.3℃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흐림창원 24.4℃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순천 24.5℃
  • 맑음홍성(예) 26.4℃
  • 제주 24.5℃
  • 구름많음김해시 25.1℃
  • 흐림구미 23.4℃
기상청 제공
메뉴

(대전일보) 2030 세대 미술 소비, 서울 넘어 대전으로 이어질까

키아프·프리즈 흥행…젊은 컬렉터 미술시장 주역으로
대전시립미술관 프리마켓·서구 아트페스티벌 잇단 개최
청년 작가 참여·합리적 가격 공급이 2030 소비 확산 열쇠

서울 아트페어 현장에서 확인된 2030 세대의 뜨거운 참여 열기가 대전에서도 이어질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2030 세대의 미술 소비 흐름을 대전에서도 이어가기 위해서는 청년 작가 참여 확대와 합리적인 가격대 작품 공급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11일 한국화랑협회에 따르면 지난 3-7일 열린 키아프 서울은 닷새간 8만 2000여 명이 방문했으며, 프리즈 서울도 나흘간 7만여 명을 끌어 모았다. 두 행사 모두 고가 작품은 물론 중저가 작품까지 폭넓게 거래됐다. 특히 2030 세대의 참여가 확연히 늘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키아프 조직위는 "아시아 컬렉터와 2030 세대 참여가 두드러지며 현대미술 시장 저변 확대와 새로운 컬렉터층 형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성훈 한국화랑협회 회장도 "젊은 세대가 미술을 가까이 경험하고 수집에 눈을 뜨는 과정은 미래 미술시장을 지탱할 중요한 움직임"이라고 말했다.

 

예년과 비교해 보면 대전에서도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대전시립미술관은 20-21일 미술관 잔디광장에서 '2025 대전 미술품 직거래 프리마켓'을 개최한다. 신진·청년 작가들이 직접 참여해 합리적인 가격에 작품을 선보이고, 시민들과 소통하는 생활형 예술장터다. 지난해 행사에서는 1500여 점이 거래돼 6600만 원 매출을 기록했다.

 

내달 10-12일에는 서구 보라매공원 일원에서 '2025 대전 서구 아트페스티벌'도 열린다. 올해로 9회째인 축제는 올해 100개 부스, 100명의 작가가 참여하는 최대 규모다. 아트마켓 매출은 2016년 6400만 원에서 지난해 2억 1400만 원대로 늘며 매년 성장세를 이어왔다. 지역의 한 갤러리 대표는 "아트페어는 작가와 컬렉터를 직접 연결하는 장일 뿐 아니라 전시와 판매로 이어지는 새로운 유통 경로"라며 "서구 아트페스티벌처럼 예술 교류형 축제가 정착한다면 대전이 아트도시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결국 진입 장벽을 낮추는 환경요인을 갖추면 젊은 컬렉터층을 흡수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영우 배재대 아트앤웹툰학부 교수는 "그동안 대전의 아트페어는 중장년층 아마추어 작가와 공예품 중심의 성격이 강했다"며 "앞으로는 다양한 청년 작가를 적극 유치해 젊은 컬렉터층이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작품이 반드시 고가일 필요는 없다. 작은 그림이라도 청년 작가의 작품을 꾸준히 구매·지원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면 자연스럽게 2030 세대 소비로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