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행정수도의 상징이 될 대통령 세종집무실 건립이 본궤도에 올랐다.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내 집무실 부지에서 토지조성 사전준비공사가 시작되며, 20여 년간 이어져온 '행정수도 세종' 숙원이 현실화되고 있다. 정부는 오는 2029년, 이재명 대통령 임기 내 준공을 목표로 속도를 높이고 있다.
30일 세종동 S-1생활권 국가상징구역 내 대통령 세종집무실 예정부지는 크고 작은 건설장비가 오가며 지장물 제거와 정리 작업이 한창이었다.
오랫동안 원형지로 남아 있던 부지가 본격적인 조성 공사를 앞두고 활기를 띠는 모습을 보였다.
토지 조성 업무를 맡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관계자는 "국가상징구역 지정 이후 손대지 않았던 곳이라 지장물이 남아 있는 상황"이라며 "착공에 차질이 없도록 사전 정리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세종집무실은 행복도시 중심부인 국가상징구역 북측에, 청와대와 맞먹는 규모로 들어선다. 국회 세종의사당과 맞물려 '국가 운영의 양대 축'을 세종이 담당하게 된다는 점에서 정치적 상징성이 크다.
정부는 2027년 말 착공해 2029년 준공한다는 계획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은 세종집무실 건립을 위해 15만㎡와 주변 유보지 10만㎡를 더해 총 25만㎡를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청와대 부지면적과 비슷한 규모로, 총사업비는 약 380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국회세종의사당 건립도 속도를 내고 있다.
세종의사당 건립위원인 강준현 의원(세종을)은 "기획재정부 총사업비 협의가 마무리 단계에 있다"며 "오는 12월쯤 국제설계공모에 착수해 내년 5월쯤 당선작을 내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행복청은 지난달 28일 국가상징구역 국제설계공모에 착수했다. 국가상징구역 대상지는 여의도의 약 75% 규모인 210만㎡이며, 크게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세종의사당, 시민들을 위한 공간 등 3개의 공간을 중심으로 구성될 계획이다.
행복청 관계자는 "국가상징구역은 대한민국 행정수도의 위상을 보여줄 핵심 공간"이라며 "문화·시민 공간과 연계해 세계적 행정수도 이미지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역사회는 "행정수도 로드맵이 착착 진행되고 있다"며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미완의 과제도 산적하다. 여성가족부·법무부 등 미이전 부처의 이전을 담은 행복도시법 개정안 통과, 수도권에 남은 13개 위원회 이전 문제는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다. 세종지방법원 설립 예산 반영도 지연되는 흐름이다.
무엇보다 행정수도 건립의 제도적 토대를 마련할 특별법 제정이 최대 분수령으로 꼽힌다. 현재 국회에는 민주당 강준현 의원이 대표발의한 '행정수도 건립을 위한 특별조치법안'과 조국혁신당 황운하 의원이 발의한 '행정수도 건설을 위한 특별법안' 등 2건이 계류돼 있다. 나아가 대통령실·국회의 완전 이전을 위한 개헌 논의까지 이어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정치권 관계자는 "국가상징구역은 세종을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만들어 나가는 첫걸음인 만큼 의미가 크다"며 "노무현 정부 시절부터 이어져온 진정한 행정수도 완성을 위해선 여야 협력이 무엇보다 절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