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강릉 17.4℃
  • 맑음서울 17.0℃
  • 연무인천 16.9℃
  • 구름조금원주 15.1℃
  • 구름조금수원 18.4℃
  • 맑음청주 17.8℃
  • 박무대전 16.6℃
  • 구름조금포항 18.5℃
  • 구름조금대구 16.6℃
  • 맑음전주 18.0℃
  • 구름많음울산 19.0℃
  • 구름많음창원 17.1℃
  • 연무광주 19.1℃
  • 구름많음부산 20.4℃
  • 맑음순천 18.9℃
  • 맑음홍성(예) 15.6℃
  • 구름많음제주 22.2℃
  • 구름많음김해시 19.3℃
  • 맑음구미 15.5℃
기상청 제공
메뉴

(제주일보) '비타민C 외교' 제주 감귤 북한 보내기 재개되나

제주도, 내년 남북협력기금 2억원 편성...15년 만에 재추진
오영훈 지사, 정동영 통일부 장관 만나 인도주의 지원 건의


제주특별자치도가 ‘비타민C 외교’로 불리는 북한 감귤 보내기 사업을 재개한다.

 

6일 제주에 따르면 내년도 예산에 남북교류협력기금 2억원을 편성, 감귤 보내기 사업을 추진한다.

 

오영훈 지사는 전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동영 통일부장관을 만나 새로운 한반도 평화시대를 위한 ‘제주형 남북교류협력사업’을 논의했다.

 

오 지사는 “비타민C 외교로 호평 받았던 제주 감귤 보내기 사업을 재개해야 한다”며 “제주 감귤이 이끌어 낸 남북교류협력은 민간 차원의 남북관계 개선에 큰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정동영 장관은 “제주 감귤이 이끈 남북교류 협력은 남북관계 개선에 실질적 도움이 됐다”고 평가하며 “제주가 구상하는 남북교류 제안에 전적으로 동의하며 적극 지원하겠다”고 화답했다.

 

정 장관은 감귤은 UN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안 내용에 포함되지 않아서 지원이 가능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제주 감귤 보내기 사업은 1999년 100톤에서 시작됐다. 주요 외신은 감귤 보내기가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협력 사업의 첫 시도이며 ‘비타민C 외교’라고 극찬했다.

 

제주도는 2010년까지 감귤 4만8328톤, 당근 1만8100톤 등 모두 6만6428톤(233억원 상당)을 북한에 보냈다.

 

2009년에는 북한의 요청으로 평양 인근에 흑돼지농장을 설립하기 위해 분만사와 양돈 기자재 18종을 지원했다.

 

북한은 보답 차원에서 제주도민 835명을 4차례에 걸쳐 평양·개성·백두산·묘향산으로 초청했다.

 

그런데 2010년 천안함 사건에 따른 5·24조치로 남북 간 인적·물적 교류가 단절되면서 감귤 보내기 사업은 15년째 중단됐다.

 

이에 따라 북한이 제주 감귤을 받아줄지가 관건으로 떠올랐다.

 

앞서 정부는 2019년 식량난을 겪고 있는 북한에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해 쌀 5만톤을 지원하기로 했지만, 북한은 한·미 연합훈련을 이유로 쌀 수령을 거부했다.

 

대북 인도적 지원은 2007년 4397억원으로 정점을 찍었지만, 이후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본격화하면서 감소 추세로 접어들었다.

 

그동안 꾸준히 지원해오던 대북 인도적 지원은 2023년 민간 차원의 7억원을 포함해 아동영양 사업에 총 9억원 규모를 지원한 것이 마지막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