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강릉 8.8℃
  • 맑음서울 4.9℃
  • 맑음인천 6.6℃
  • 맑음원주 0.6℃
  • 맑음수원 1.9℃
  • 맑음청주 4.0℃
  • 박무대전 2.5℃
  • 맑음포항 8.4℃
  • 박무대구 3.7℃
  • 박무전주 4.3℃
  • 맑음울산 8.9℃
  • 맑음창원 8.8℃
  • 박무광주 6.5℃
  • 맑음부산 10.7℃
  • 맑음순천 2.9℃
  • 맑음홍성(예) 1.8℃
  • 구름조금제주 12.2℃
  • 맑음김해시 6.9℃
  • 맑음구미 2.8℃
기상청 제공
메뉴

(제주일보) 서귀포의료원 공공 요양병원 '물 건너 가나'

김대진 의원 "단순한 병상 아니 지역 돌봄체계 마지막 축"
오영훈 지사 "국비 지원 끊겨...노인 전문 질환센터로 건립"


서귀포의료원 공공 요양병원 대신 급이 낮은 ‘노인 질환 전문센터’가 설치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13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서귀포시 동홍동 1535-5번지 3915㎡ 부지에 서귀포의료원 부설 공공 요양병원을 건립하기로 했다.

 

당초 계획은 지상 3층·지하 1층 연면적 7244㎡로 일반병동 62병상, 치매병동 36병상 등 98병상과 의료진 36명을 확보하기로 했다.

 

그런데 정부의 ‘공립요양병원 일몰제’로 공공 요양병원 건립에 국비 지원이 끊기면서 도는 노인 질환 전문센터로 변경하기로 했다.

 

지난해 서귀포시 인구(19만2034명) 중 65세 이상은 21.8%(4만1948명)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가운데 치매 등 노인질환을 전담할 의료기관이 설립은 서귀포시민들의 숙원 사업이 됐다. 이와 비교해 제주시에는 공공·민간요양병원이 11곳이나 있다.

 

김대진 제주도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동홍동)은 13일 도정질문에서 “서귀포시에 요양병원이 한 곳도 없어서 만성질환자와 치매 환자 모두 제주시나 육지에 있는 의료기관에 가야 한다”며 “2021년부터 추진됐던 서귀포의료원 요양병원 증축 계획이 노인 전문 질환센터로 변경된 것은 국비 지원이 안 되고 운영 수익성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공공의료는 민간이 감당하기 어려운 영역을 책임져야 한다. 서귀포 요양병원은 단순한 병상이 아니라 지역 돌봄 체계의 마지막 축으로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오영훈 지사는 “서귀포 요양병원 설립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지방비와 국비 확보가 간단치 않다”며 이를 대신해 447억원을 투입해 서귀포의료원 노인 질환 전문센터 구축을 추진해 내년에 실시설계에 이어 2027년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문센터는 만성 복합 질환치료뿐만 아니라 호스피스 완화 의료 제공과 취약계층 의료 안전망 확대, 재활 및 공공보건의료 수행, 지역사회 돌봄 연계 역할까지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반면, 김 의원은 “노인 질환 전문센터는 서귀포의료원의 기존 외래 진료와 내과 기능과 중첩될 우려가 있고 치매질환과 요양 기능은 떨어질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