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강릉 8.1℃
  • 맑음서울 3.0℃
  • 맑음인천 4.9℃
  • 맑음원주 1.5℃
  • 맑음수원 4.3℃
  • 맑음청주 4.7℃
  • 맑음대전 6.0℃
  • 구름조금포항 8.1℃
  • 맑음대구 7.4℃
  • 맑음전주 6.9℃
  • 맑음울산 7.4℃
  • 맑음창원 9.1℃
  • 맑음광주 8.9℃
  • 맑음부산 9.5℃
  • 맑음순천 7.7℃
  • 맑음홍성(예) 4.9℃
  • 구름많음제주 12.7℃
  • 맑음김해시 7.7℃
  • 맑음구미 7.0℃
기상청 제공
메뉴

(제주일보) 수소트램, 정부 승인 안됐지만 '도민 홍보 1억원 편성'

김황국 의원 "도민사회 찬반 의견있는데 장점만 부각할 상황"
한동수 의원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도입처럼 일방적 홍보 우려"


2030년 도입을 목표로 한 수소 트램은 도민 수용성과 국비 확보가 관건으로 떠올랐다.

 

20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그린수소를 이용하는 제주형 수소트램은 제주항~동문시장~제주공항~연동사거리~노형오거리~1100로를 연결하는 12.91㎞ 구간에 설치한다.

 

총사업비는 5293억원으로 국비는 60%(3176억원)가 투입된다.

 

도는 수소 트램 1일 예상 이용객은 5만3841명으로 대중교통 분담률이 20% 이상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연간 1500만명 제주 방문 관광객의 주요 이동수단 가운데 79.4%는 렌터카인데, 이 수요를 트램이 흡수하면 공항과 도심 내 교통 혼잡은 줄어들 전망이다.

 

도는 지난 8월 국토교통부에 사업 신청서를 냈고, 도로교통공단 등 3개 전문기관은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다. 현재 기획재정부 등 각 부처의 의견을 수렴 중이다.

 

도는 내년 3월쯤 예비타당성조사가 통과되면 국토부가 사업을 승인할 것으로 기대했다.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 소속 김황국 의원(국민의힘·용담1·2동)은 이날 내년도 예산안 심사에서 “수소 트램은 정부의 승인이 나지 않았는데, 2026년 예산안에 홍보비와 사례조사비로 9억5000만원이 편성됐다”며 “트램은 장·단점이 있고 도민들도 찬반 의견이 있는데 일방적으로 장점만을 홍보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5000억원 이상) 재정 투입 대비 사업 타당성과 효율성을 살펴봐야 하고, 공사기간 중 교통정체 등 단점도 도민들에게 알려야 한다”고 꼬집었다.

 

김영길 도 교통항공국장은 “내년 3월 이후 경제성 분석을 위한 예비타당성조사와 도민 수용성을 위한 정책조사를 하면서 매우 중요한 절차를 밟게 된다”며 “공청회와 토론회를 통해 도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홍보 예산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답했다.

 

한동수 의원(더불어민주당·이도2동을)은 “제주형 트램 도입은 2032년 전후가 될 전망인데, 지금 홍보 예산이 필요한지 의문”이라며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도입처럼 일방적인 홍보(장점)가 아닌 공정한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분석 결과, 수소 트램은 비용대비 편익(B/C) 비율이 0.79로, 1을 넘지 않아서 사업의 경제성은 떨어졌다.

 

이에 따라 사업의 관건은 경제성 확보와 국비 지원, 도민 수용성에 달렸다.

 

2035년 기준 수소 트램 예상 이용객은 하루 평균 5만3841명으로, 주요 탑승객은 공항과 제주항을 이용하는 관광객이다.

 

수소 트램의 평균 시속은 29.9㎞이며 10분 간격으로 180명을 실어 나를 수 있다. 12.91㎞ 구간 왕복에는 58.3분이 소요된다.

 

용역진은 트램 1대당 최대 245명이 탑승할 수 있으며 1일 5만명 이상 이용하면 경제성이 확보되지만, 그 이하이면 운영 적자에 시달릴 것으로 예측했다.


제주항~동문시장~제주공항~연동사거리~노형오거리~1100로를 연결하는 12.91㎞ 구간의 수소 트램 노선도.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 소속 김황국 의원(국민의힘·용담1·2동)과 한동수 의원(더불어민주당·이도2동을)은 20일 내년도 예산안 심사에서 수소 트램 도입 관련, 질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