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 및 국방비 인상 협상 국면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꺼내 든 전시작전통제권(이하 전작권) 환수 카드가 안보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 이재명 정부 고위 당국자는 10일 "미국도 부정적이지 않으며, 통상·국방비와는 별도로 논의되고 있다"고 밝혔지만, 야당인 국민의힘을 비롯한 안보 전문가들은 "이 시점에 잘못된 카드이자, 미국이 원하는 걸 잘못 짚고 있다"며 맹렬히 비판했다.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은 1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안보를 정치적 카드로 삼으면, 그 대가는 결국 국민이 치러야 한다"며 "전작권을 패키지 딜의 협상 카드로 활용하는 것은 명백한 안보 자해행위"라고 경고했다. 이어 "한미 통상 협상 테이블에 전작권 전환까지 올리겠다는 발상은 위험천만한 일로, 안보는 결코 흥정의 대상이 아니다"고 꼬집었다. 김은혜 국민의힘 원내정책수석부대표 역시 지난 11일 '관세 협상 중 전작권 전환, 국민이 위태로워질 일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자신의 SNS에 올렸다. 김 수석부대표는 "협상을 하라고 했더니, 안보를 포기하고 있다"며 "지난 20대 대선 당시 이재명 후보는 '전작권은 그냥 환수하면 되지, 무슨 조건을 거치느냐'고 가벼운 발언을 내뱉은 적이 있었다"고
이재명 정부의 실용주의 외교 노선이 국제사회로부터 시험받고 있다. 나토(NATO·북대서양 조약기구) 정상회의(24~25일 네덜란드 헤이그)에 불참하고, 미국의 이란 폭격에 대해서도 침묵하면서 상당수 국제관계 전문가들은 실용을 표방한 등거리 외교 노선은 한반도 안보에 치명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국제사회의 질서가 '힘'을 바탕으로 한 약육강식의 논리가 지배하는 현실을 감안할 때 눈치 보기식 외교로는 어느 세력으로부터도 외면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당선 후 나흘 만에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통화했지만, 백악관에서는 공식 논평조차 없었다. 이번 나토 회의는 한미 정상 간 첫 만남이 성사될 것으로 기대됐지만 무산된 형국이다. 반면 윤석열 전 대통령은 재임 기간 나토 정상회의에 세 차례나 참석, 방위산업 및 원전 수출의 무대로 활용한 바 있다. 이전 정부는 나토 및 동유럽과의 밀착 외교로 수십억달러에 이르는 방산 및 원전사업을 수주한 바 있다. 이웃 나라 일본은 미국의 이란 폭격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표명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22일 "이란의 핵 보유는 허용돼서는 안 된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안보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