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귀포 인근 해역에서 발생한 리히터 규모 4.9의 지진과 관련, 밤사이 제주지역에서는 13차례나 여진이 발생했다. 하지만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15일 행정안전부와 기상청에 따르면 전날 오후 5시19분 서귀포시 서남서쪽 41㎞ 해역에서 규모 4.9 지진이 발생한 뒤 모두 13차례의 여진이 발생했다.
제주지역에서 마지막으로 발생한 여진은 14일 오후 10시36분 서귀포시 서남서쪽 42km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1.3의 여진이다.
이처럼 약한 여진을 포함해 이번 지진으로 발생한 여진은 규모 1.3~1.7 수준이다. 2017년 포항지진(규모 5.4) 당시 규모 2.2~4.3 여진이 100회 발생했던 것과는 대비된다.
행안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5시30분까지 접수된 유감 신고(지진을 느꼈다는 신고)는 모두 173건이었다.
제주지역은 114건, 전남이 37건이었으며 기타 지역에서 접수된 신고는 22건이었다.
인명 피해는 나오지 않았고, 4건의 재산피해는 제주시에서만 접수됐다.
접수된 피해 사례는 ▲주택의 창문과 벽면 균열 ▲아파트 베란다 타일 균열 ▲바닥 기울어짐 ▲주택 벽면 일부 균열이다. 모두 위중하지는 않은 사안으로, 붕괴 위험이나 안전상 이상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직 아닌 수평으로 단층 이동 피해 줄여…지진해일 위험성 없어
기상청, 국내에서 규모 3.0 이상 지진은 연평균 10~11회 발생
제주에서 발생한 지진은 도내 전역에서 큰 진동이 감지될 정도였지만 바다에서 일어난 데다 단층이 수직이 아닌 수평으로 움직인 덕분에 피해를 줄인 것으로 분석됐다.
기상청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날 지진을 느꼈다는 신고는 제주도를 중심으로 전국 곳곳에서 빗발쳤다. 하지만 인명 피해나 주택·건물 붕괴 등 큰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번 지진은 한반도 주변 남해·서해에서 주로 발생하는 주향이동단층 운동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주향이동단층은 단층의 상반과 하반이 단층면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단층이다.
같은 규모의 지진이더라도 단층이 수직으로 이동하는 역단층·정단층일 경우 피해가 훨씬 커진다.
또한 지진이 육지가 아닌 바다에서 발생한 점도 피해를 줄이는 데 일조했다. 지진이 육지에서 발생하더라도 해당 지역에 인구가 얼마나 밀집해 있느냐에 따라 피해 발생 여부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2007년 1월 20일 강원도 평창군 북북동쪽 39㎞에서도 이번과 비슷한 규모 4.8의 지진이 발생했는데, 산악지대에서 발생해 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2017년 11월 15일 발생한 5.4 규모 포항 지진은 이번 제주지역 지진과 대비된다. 포항 지진은 사망 1명·부상 117명의 인명 피해와 약 800억원에 달하는 재산피해가 났다.
당시 지진은 인구 50만명의 중소 도시인 포항에서 발생한데다 진원 깊이가 6.9km에 불과했다.
기상청 유상진 지진화산정책과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진의 피해가 크지 않았던 데 대해 “지진의 피해는 절대적인 규모보다는 지진이 이동하면서 만드는 흔들림인 진도의 영향을 받는다”고 밝혔다.
유 과장은 또 “규모가 4.9 수준인데다 단층이 수평으로 이동하는 주향이동단층 운동으로 지진이 일어났기 때문에 해일을 일으킬 정도의 에너지를 갖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기상청은 이번 지진은 규모가 크지 않고 지진의 형태 또한 (수평 방향인) 주향이동단층 지진이어서 지진해일을 일으킬만한 에너지는 없다고 판단되며, 지진해일의 위험성이 없다고 발표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지진이 제주도의 화산 활동과 최근 연이어 발생한 일본 지진과 관련 있는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기상청은 단언할 수 없지만 좀 더 종합적인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기상청은 지진은 언제 발생할지 예측이 불가능하고, 평균적으로 분석했을 때 국내에서 규모 3.0 이상 지진은 연평균 10~11회 발생한다고 밝혔다. 올해도 그 정도 범위 안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김부겸 총리, 비상근무태세 유지 철저한 대비 강조
김부겸 국무총리는 지난 14일 제주 해상에서 규모 4.9의 지진이 발생한 것과 관련, 피해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여진 발생 가능성에 대비하라고 긴급 지시했다.
김 총리는 이날 행정안전부장관과 소방청장에게 “지진으로 인한 피해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 등에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다.
또 원전·전기·통신·교통 등 국가기반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점검할 것을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국토교통부장관에 주문했다.
그러면서 “관계기관에서는 비상근무태세를 유지해 추가적인 여진 발생 가능성에 대해서도 철저히 대비하라”고 강조했다.
행안부는 제주에서 규모 4.9의 지진이 발생하자 신속한 피해 상황 파악과 필요시 긴급조치 등을 하기 위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단계를 가동했다.
이어 기상청과 소방청, 해경, 제주도, 전라남도 등의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전해철 행안부 장관 주재로 영상으로 중대본 회의를 개최했다.

좌동철 기자 roots@jeju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