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강릉 20.6℃
  • 맑음서울 17.0℃
  • 맑음인천 14.8℃
  • 맑음원주 16.0℃
  • 맑음수원 14.1℃
  • 맑음청주 17.7℃
  • 맑음대전 15.3℃
  • 맑음포항 15.9℃
  • 맑음대구 16.1℃
  • 맑음전주 15.6℃
  • 맑음울산 12.9℃
  • 맑음창원 14.6℃
  • 맑음광주 16.3℃
  • 맑음부산 15.3℃
  • 맑음순천 10.9℃
  • 맑음홍성(예) 14.0℃
  • 맑음제주 16.5℃
  • 맑음김해시 15.0℃
  • 맑음구미 14.6℃
기상청 제공
메뉴

(경남신문) [역대 선거로 본 경남민심] 전통 보수텃밭 ‘흔들’… 2010년 후 진보진영과 격차 줄었다

최근 도지사 선거 4번 중 2번 보수 낙선
진보 지지 높아지며 갈수록 득표차 줄어
경남 득표율 지선·대선 상관관계 미미

2000년대 들어 대선에서 승리한 정당이 직후 실시된 전국단위 총선·지방선거에서 승리했다. 특히 대선 후 치러진 지방선거는 대선 승리를 거둔 세력이 주도권을 잡았다. 이 같은 현실을 경험한 정치권은 3월 대선에 총력을 집중하고 있다. 대선 결과가 6월 지방선거에 절대적인 영향을 줄 것이란 관측에 별다른 이견이 없다. 이에 모든 선거 정치 시계는 대선에 초점을 맞췄다.

 

다만 경남 역대 선거를 살펴보면 전국적 흐름과는 그 궤를 달리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대선의 경우 전국 득표율과는 상반되게 전통적 강세인 보수 성향 후보와 정당에 대한 득표율이 높게 나타났다. 진보 진영의 김대중·노무현·문재인 대통령 당선 때도 경남에서는 이회창·홍준표 후보 지지율이 앞섰다.

 

하지만 지방선거의 경우 2010년을 기점으로 점차 그 격차가 확연하게 줄고 있다. 더욱이 최근 네 번의 도지사 선거에서 보수진영 후보가 두 번이나 낙선했다. 이제는 속칭 특정 정당 ‘텃밭’이란 표현을 단정적으로 적용하기는 무리인 구도로 변했다.

 

 

◇20년 만에 대선·지선 같은 해 실시= 2002년에는 지방선거(6월)→대선(12월)이었다. 올해는 대선(3월)→지방선거(6월)이다.

 

정치학자들은 “시기적으로 근접한 선거라고 해서 반드시 뒤따라오는 보다 중요한 선거의 전초전 성격을 갖는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분석한다. 대통령 임기 중반에 실시되는 지방선거는 국정운영에 대한 중간평가적 속성을 강하게 나타내기 때문이라고 봤다.

 

이번에는 대선 이후 지방선거가 실시되는 만큼 2002년과는 정치적 상황이 같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적지 않다. 국정운영 중간평가보다는 ‘정권교체’와 ‘정권 재창출’이라는 대명제가 충돌하기 때문이다. 2017년 대선, 2018년 지방선거, 2020년 총선까지 연달아 패했던 국민의힘 입장에선 분위기 반전엔 성공했다. 그러나 ‘역대 비호감 대선’이란 불명예를 안을 정도여서 이 같은 정권심판의 분위기가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과거 대선 직전에 치러졌던 선거 사례를 보면 대선 전초전의 승패 여부가 대선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2002년 6월 지방선거에서 당시 야당이던 한나라당(국민의힘 전신)이 광역자치단체장 16곳 중 서울시장·경기지사 등 11석을 차지하는 대승을 거뒀다. 민주당은 지방선거에서 광주, 전남·북과 제주도를 지키는 데 그쳤다. 하지만 6개월 뒤 대선에서 이회창 후보가 당시 노무현 새천년민주당 후보에게 패배하며 정권교체에 실패했다. 당시에도 김대중 정부 말기 정권심판론이 강했지만 한나라당이 여전히 ‘기득권 정당’이라는 이미지에 갇히면서 정권탈환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경남 보수정당 상대적 강세= 경남지역 투표 성향은 전국 추세를 그대로 반영하지는 않는다. 전통적인 보수정당 지지가 강하다는 게 역대 선거에서 여실히 증명됐다.

 

1997년 12월 실시한 15대 대선에서 김대중 대통령이 당선됐다. 김 대통령은 대선에서 40.27% 득표율로 38.74%를 얻은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를 이겼다. 하지만 경남에서는 이회창 후보 55.14%, 국민신당 이인제 후보 31.30% 순으로 집계됐다.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는 11.04% 득표로 3위에 그쳤다.

 

6개월 뒤인 1998년 6월 지방선거에서는 한나라당 김혁규 후보는 74.64% 득표율로 새정치국민회의 강신화 후보(12.84%)를 60%p 넘게 따돌렸다.

 

4년 뒤인 2002년에는 지방선거에 이어 대선이 6개월 간격으로 실시됐다. 경남지사 선거에서 한나라당 김혁규 후보는 74.50%의 득표율로 16.88%에 그친 새천년민주당 김두관 후보를 압도적 표 차이로 따돌렸다. 하지만 12월 대선에서는 노무현(48.91) 후보가 이회창(46.58%) 후보를 누르고 승리했다. 그런데도 경남에서는 이회창(67.52%) 후보 득표율이 노무현(27.08%) 득표율보다 무려 40%p 이상 높았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정국’이던 2017년 실시한 19대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는 41.08%를 얻어 홍준표(24.03%) 후보를 눌렀다. 하지만 경남에서는 홍준표(37.24%) 후보가 근소한 차이지만 문재인(36.73%) 후보에 앞섰다. 속칭 PK로 한묶음으로 분류하는 부산과 울산에서 문 후보가 승리한 데 비교하면 이례적이란 평가다.

 

◇2010년 이후 1·2위 격차 줄어= 이처럼 경남은 전통적으로 보수정당 지지세가 강하다. 하지만 2010년 민주당 성향이지만 무소속으로 출마한 김두관 지사 후보가 당선되는 것을 분기점으로 기류가 바뀌었다. 보수와 진보 정당 간 지지율 격차가 확연하게 줄었다. 과거 10~20%대에 머물던 진보 진영 지지율은 꾸준히 30%대를 유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김두관 후보는 2006년 지사 선거에서는 열린우리당 후보로 출마해 25.40%를 득표했다. 당시 한나라당 김태호 당선자는 63.12% 득표율을 기록했다. 하지만 4년 뒤 무소속으로 출마한 김 후보는 53.50%를 얻었다. 한나라당 이달곤 후보는 46.69%다. 두 후보 표 차이는 10만 6350표(7%)에 불과하다. 김두관 후보는 불과 4년 만에 두 배 이상 득표율을 끌어올리면서 ‘작은 선거 혁명을 이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를 기점으로 경남지사 선거에서 보수 정당과 진보정당 간 60%p에 달하던 득표율 격차가 급격하게 좁혀지기 시작했다. 2014년 지사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홍준표 후보가 58.85%로 당선됐지만 낙선한 새정치민주연합 김경수 후보는 36.05%를 득표했다. 이어 2018년에는 김경수 52.81%, 김태호 42.95%로 민주당 간판의 최초 도지사가 탄생하기에 이르렀다. 물론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정국’이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 부분도 간과할 수는 없다.

 

 

 

당시 도의원 선거 결과도 기존 판이 뒤집히면서 ‘파란’을 불렀다. 민주당은 지역구에서 31석과 비례 3석 등 34석을 차지했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비례 2석을 포함해 총 21석을 얻는 데 그쳤다. 정의당이 1석(비례), 무소속이 2석이다. 앞선 2014년 제6회 지방선거에서는 새누리당 50석(비례 3석 포함), 새정치민주연합 2석(비례), 노동당 1석, 무소속 2석이었다.

 

이미 2006년 5·31 지방선거에서 보수 진영 아성은 서서히 무너지기 시작했다. 한나라당은 전국적으로는 크게 이겼지만, 경남에서는 예전보다는 저조한 성과라는 평가를 받았다. 단체장의 경우 도지사를 비롯한 15곳에서 승리한 반면, 밀양시장과 함양군수 등 2곳을 열린우리당에게 내주었다. 양산시장. 함안·의령·창녕군수 등 4곳은 무소속에게 무릎을 꿇었다. 2002년 3회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은 도지사를 포함해 21개 광역·기초단체장 중 17곳에서 이겼고 4곳은 무소속에게 패했다.

 

◇총선 정당 지지율도 진보진영 상승= 이 같은 변화는 정당 지지율에서도 여실히 반영됐다. 인물과 정당의 교차 투표를 가능하게 한 1인 2표제가 최초 도입된 17대 총선 이후 비례대표 정당 지지율을 보면 알 수 있다. 당시 열린우리당은 152석을 확보하면서 1987년 민주화 이후 집권여당이 처음으로 선거를 통해 국회 과반 의석을 차지하는 성과를 이뤘다. 경남에서도 열린우리당은 31.65%를 얻어 47.31%의 한나라당과 불과 15%p 차이로 격차를 좁혔다.

 

 

 

보수진영의 경우 경남지역에서 18대 총선 한나라당 비례대표 득표율은 45.03%에서 19대 총선 새누리당 53.80%로 상승했다. 이후 20대 총선 44.00%, 21대 총선 미래한국당 44.60%등 완만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민주당 계열의 경우 18대 총선에서는 통합민주당은 10.51%를 얻어 친박연대(17.95%)에도 밀렸다. 하지만 19대 총선부터 꾸준히 20%대 중반을 유지하고 있다. 19대 총선 민주통합당 25.61%, 20대 총선 더불어민주당 24.35%, 21대 총선 더불어시민당 25.59% 등이다.

 

이상권 기자 sky@k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