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원주 25.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포항 22.3℃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흐림창원 24.4℃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순천 24.5℃
  • 맑음홍성(예) 26.4℃
  • 제주 24.5℃
  • 구름많음김해시 25.1℃
  • 흐림구미 23.4℃
기상청 제공
메뉴

(제주일보) 이코노미 좌석 면적 조사하니…“제주항공·티웨이 가장 좁았다”

좌석 간격은 에어부산, 복도 통로 간격은 티웨이가 가장 좁아
“국토부, 구체적 최소 규정 없어...국민 이용 편리성도 고려해야”


국내 항공사 일반석 좌석 면적을 전수 조사한 결과, 제주항공과 티웨이항공 일부 기종의 좌석이 가장 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준호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북구갑)은 23일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6개 국내 항공사 이코노미 좌석 현황’ 자료를 공개했다. 조사 대상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항공사와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등 저비용항공사(LCC)다.

 

조사 결과 제주항공 B737-800 기종 일반석의 안장폭은 최소 41.4㎝, 고객 1인당 좌석 면적은 0.305㎡로 가장 좁았다.

 

티웨이 B737-800 기종 역시 안장폭 43㎝, 1인당 면적 0.314㎡로 뒤를 이었다. 반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항공사의 동일 계열 기종은 상대적으로 넓은 좌석 면적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좌석 간격이 가장 좁은 항공사는 에어부산이었다. A320-200 기종의 좌석 간격은 71.1~73.7㎝로 확인됐다. 복도 통로 간격은 티웨이 B737-800 기종이 42.9㎝로 가장 좁았다.

 

정준호 의원은 “일부 항공사의 일반석 좌석 면적이 지나치게 협소해 승객 불편이 크다”며 “국토부가 적극적인 행정지도를 통해 고객 편의성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토부는 현재 좌석 간격이나 너비에 대한 구체적 최소 규정은 없으며, 항공기 인증 시 안전성에 따라 최대 좌석 수만 정해지고 항공사가 자율적으로 배치한다고 설명했다.

 

정 의원은 “항공기가 보편적인 교통수단이 된 만큼 영업 논리뿐만 아니라 국민의 이용 편의성도 중요한 고려 요소가 돼야 한다”며 “좌석 면적 자료 공개를 더욱 구체화해 국민 알권리를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